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노년학 제43권 1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학대피해노인의 외상후 성장에 관한 구조모형연구

본 연구는 학대 피해 노인의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간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살펴보는 것으로Tedeschi와 Calhoun(2004)의 외상 후 성장이론을 토대로 학대 피해 노인의 자기 노출과 의도적 반추 그리고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성장에 미치는 직접, 간접효과와 변수 간의 구조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전국 조사로 진행되었으며 17개 광역시도에설치된 지역노인보호전문기관을 통해 만 65세 이상의 피해 노인 303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방법으로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확인적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였고 이를 위해 SPSS 22.0 및 AMOS 22.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본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직접효과에 대한 6개의 가설 중 5개 가설이 채택되었으며 1가지 가설이 기각되었고 간접효과에 대한3개의 가설 중 3가지 모두 지지 되었다. 채택된 직접효과를 살펴보면, 학대 피해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의도적 반추가 높으면 외상후 성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기 노출과 사회적 지지가 높으면 의도적 반추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 노출이높으면 사회적 지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자기 노출은 외상 후 성장에 유의미한 직접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간접효과를살펴보면, 의도적 반추는 자기 노출과 사회적 지지와 외상 후 성장 간의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 노출과 외상후 성장 사이를 사회적 지지, 의도적 반추가 이중매개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대 피해 노인의 외상 후 성장을촉진하는 의도적 반추, 사회적 지지, 자기 노출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과 실천방안, 법률 및 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affecting the Post-Traumatic Growth of the abused elderly throug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he self-exposure, Deliberate rumination and social support of abused elderly affects the post-traumatic growth directly or indirectly based on the post-traumatic growth theory of Tedeschi and Calhoun(2004). This study was conducted nation-widely surveying 303 victims aged 65 years or older through National Protection Agencies for Elderly established in 17 metropolitan and provincial cities. As a data analysis metho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used. For this purpose, SPSS 22.0 and AMOS 22.0 statistical programs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ve of the six hypotheses about the direct effect were accepted, one hypothesis was rejected, and all three of the three hypotheses about the indirect effect were supported. Looking at the adopted direct effect, it was found that post-traumatic growth was high when the social support and Deliberate rumination of the abused elderly were high. And when self-exposure and social support were high, Deliberate rumination was high. In addition, high self-exposure showed high social support. On the other hand, self-exposure did not have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 Looking at the indirect effect, Deliberate rumination was found to mediate the effects between self-exposure and social support and post-traumatic growth.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ocial support and Deliberate rumination mediate self-exposure and post-traumatic growth.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need f or improvement of programs and practices, laws and systems that can improve Deliberate rumination, social support, and self-exposure to promote post-traumatic growth of the abused elderly was suggested.

Ⅰ. 문제 제기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