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jpg
KCI등재 학술저널

엠마누엘 무니에의 「인격주의(le personnalisme)」의 탄생 배경과 그 철학적 의의

The socio-historical background of Emmanuel Munier's “personalism” and its philosophical significance

DOI : 10.16936/theoph..41.202208.99
  • 35

‘인격주의(personnalisme)’는 엠마누엘 무니에(Emmanuel Mounier)의 사상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인격주의가 하나의 정신적 운동처럼 나타나게 된 것은 1930년대 유럽의 사회적 정치적 위기를 근본적인 ‘문명의 위기’로 인식하면서 ‘인격(la personne humaine)에 대한 존중’이라는 심오한 도덕적 가치를 내세워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였다. 인격주의는 인간을 획일화하고, 개인의 자유를 억압하며, 진정한 공동체의 형성을 방해하는 ‘무제약적인 기계기술 문명에 대한 거부’, ‘전체주의(공산주의, 파시즘)에 대한 거부’ 그리고 ‘자유주의적 개인주의에 대한 거부’를 내세우며 탄생하였는데, 이 같은 당시의 문화적 양태는 모두 개개인의 자유로운 인격의 실현을 방해하면서 결과적으로 영적인 삶의 실현을 불가능하게 한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인격주의의 발생은 크게 3가지 철학적 의의를 가지는데, 인간 연구에 대한 철학사적 지속성, 인간중심주의를 극복하는 새로운 인간학적 비전 그리고 낙과적인 미래의 비전과 인간의 사명에 관한 사유가 그것이다.

“Personalism” is a term used to refer to the ideas of Emmanuel Mounier. Personalism came to appear as a spiritual movement while recognizing the social and political crisis in Europe in the 1930s as a fundamental 'crisis of civilization' and overcoming the crisis with the profound moral value of 'respect for personality(la personne humaine)'. Personalism was born with the 'rejection of unrestrained technological civilization', 'rejection of totalitarianism (communism, fascism)' and 'rejection of 'liberal individualism', because they standardize humans and suppressed individual freedom and prevented the formation of a true community. All of these cultural aspects at that time had in common that they prevented the realization of individual free personality and consequently made the realization of spiritual life impossible. The occurrence of such Personalism has three philosophical significances: the philosophical continuity of human research, a new anthropological vision to overcome anthropocentrism, and an optimistic vision of the future and thinking about human mission.

1. 들어가는 말

2. 인격주의의 탄생 배경

3. 인격주의의 태동의 3가지 철학적 의의

4. 나가는 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