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소병원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김순옥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제39권 제6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2.12
- 839 - 852 (14 pages)
본 연구는 중소병원간호사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의료환경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업무스트레스 및 회복탄력성, 간호업무성과를 파악하고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S지역에 소재하는 4개 중소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219명이었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상관관계 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중소병원 간호사의 업무 스트레스와 간호업무성과는 음의 상관관계(r=-0.150, p<.05), 업무 스트레스와 회복탄력성은 양의 상관관계(r=0.160, p<.05). 간호업무성과는 회복탄력성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351, p<.01).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회복탄력성(β=.231, p<.01)이였으며, 설명력은 17.4%로 나타났다(Adj.R2=0.174, p<.001). 따라서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회복탄력성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간호사 개인의 역량에 맞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겠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identify work stress, resilience, nursing performance and influencing factors so that nurses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can flexibly cope with rapidly changing medical environm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19 nurses working at four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located in S region,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work stress and nursing performance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 nurses (r=-0.150, p<.05), an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work stress and resilience (r=0.160, p<.05). Nursing performanc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resilience (r=0.351, p<.01). The variable affecting nursing performance was resilience (β=.231, p<.01), and its explanatory power was 17.4% (Adj.R2=0.174, p<.001).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nursing performance of nurse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resilience.
1. 서 론
2. 연구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