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rceived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in College Students on Adjustment to College Life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한국위기관리논집
- Vol.18 No.9
- : KCI등재
- 2022.09
- 111 - 121 (11 pages)
본 연구는 D 광역시에 소재한 대학교 재학생 170명을 대상으로 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스마트폰 중독이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그결과 일반적 특성 중 학년(F=3.537, =.016)과 전공에 대한 만족(F=17.631, p<.001)이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또한, 지각된 스트레스(β=-.562, p<.001)가 높고 스마트폰 중독이고위험군일수록(β=-.135, p=.017) 대학생활 적응 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변인은 대학생활 적응을 49.9% 설명하였다. 따라서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높이기 위해서는 스트레스 정도와 스마트폰 중독 수준을 스스로 인지하고 조절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것이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main factors that influence college students’ perceived stress and smartphone addiction in adjusting to college life. Methods: Data was collected from 170 enrolled college students located at D. city. Using the SPSS 26.0 program,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a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Consequently,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grade(F=3.537, p=.016) and satisfaction with college major(F=17.631, p<.001)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djusting to college life.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as perceived stress( β=-.552, p<.001) is high and smartphone addiction is the level of high risk( β=-.135, p=.017), the level of adjustment to college life decreases. These variables explain 49.9% of adjustment to college life. Conclusion: Therefore, to increase college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life, measures should be prepared to help promote self-growth by allowing them to recognize and control the degree of stress and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for themselves.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