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미국에 거주하는 화교 작가 옌거링严歌苓의 소설 『금릉십삼차金陵十三钗, 진링의 13소녀』와 이를 영화화한 장이머우張藝謨(Zhang Yimou) 감독의 <金陵十三钗진링의 13소녀>(The Flowers of War)를 비교하여 소설이 영화화되었을 때의 시점의 차이를 통해 작품 내·외적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옌거링에 대한 연구는 한국에서는 많이 연구되지 않았다. 그러나 『金陵十三钗』의 영화와 소설에 대한 중국 학자들의 연구는 100여 편 가량으로 열거하기 어려울 정도로 많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서사론에 입각하여 접근함으로써 소설의 서술이 주제를 어떻게 구현하는지를 드러내어 이 소설의 특징을 밝히고자 한다. 또한 영화가 주제를 어떻게 구현하는지를 살펴 장이모우 감독의 특징도 밝히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진링의 13소녀金陵十三钗』에서의 주인공인 멍수쥐안의 조카의 ‘1인칭 관찰자시점’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조카의 1인칭 관찰자 서술은 주관성과 객관성을 넘나들 수 있는 간주관성을 획득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영화에서는 시점쇼트와 보이스 오버 내레이션을 통해 간주관성이 구현되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This paper compares Jin Ling Shi San Chai, a novel written by the Chinese American writer Yan Geling, and its film adaptation, The Flowers of War, directed by Zhang Yimou, to reveal the internal and external characteristics of each work by looking at the differences of point of view between them, which arose from the process of adaptation. Although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Yan Geling in Korea, there are over 100 studies by Chinese scholars on the novel and film adaptation of Jin Ling Shi San Chai, so many that it is difficult to list them all. This paper attempt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vel by using the theory of narrative to show how the novel embodies its theme. It also investigates how the film embodies the theme of the story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director Zhang Yimou.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Jin Ling Shi San Chai is composed of a first-person observer perspective, narrated by the nephew of the protagonist, Meng Su-Juan. By narrating the story from the nephew’s first-person observer perspective, the author achieves intersubjectivity and freely goes back and forth the realms of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In this paper, it is analyzed that the intersubjectivity is realized through the point of view shots and voice-over narrations in the film.
Ⅰ. 서론
Ⅱ. 소설 『진링의 13소녀金陵十三钗』의 서술적 특성
Ⅲ. 영화의 시점적 특성
Ⅳ. 영화와 소설의 시점 비교
Ⅳ.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