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가정 교과 서술형 평가에 대한 예비 가정 교사 인식 연구

A study on pre-service teachers’ perceive of the descriptive evaluation of Home Economics subjects

  • 9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3호.jpg

목적 이 연구는 가정 교과 예비 교사가 서술형 평가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가정교과 서술형 평가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전북 지역 J 사범대학에서 예비 가정 교사 양성 과정을 이수하고 있는 51명을 대상으로 총 40문항으로 구성된 서술형 평가에 대한 인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이들 중 4학년 일부를 표집하여 서술형 평가와 평가 전문성에 대한 인식, 설문 결과에 대한 자유 회상을 중심으로 하는 사후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결과 총 5개 설문 하위 요인에 따라 설문 결과와 인터뷰 결과를 정리하여 1, 2학년과 4학년의 인식 차이, 4학년 학생들이 느끼는 주관적인 서술형 평가 및 전문성 인식에 대한 내용들을 평가 방법, 평가 도구 개발, 서술형 평가 수행, 평가 결과 해석, 서술형 평가의 평가 윤리 등으로 구분하여 도출하였다. 결론 첫째, 서술형 평가와 관련된 기저 지식에 대한 충분힌 교육이 더욱 강조되어야 한다. 둘째, 실질적인 서술형 평가 수행 경험을 충분히 제공해 주어야 한다. 셋째, 서술형 평가 효능감 신장을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넷째, 서술형 평가의 윤리적 문제와 관련된 교육 내용을 제공해야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Home Economics pre-service teachers perceive descriptive evaluation and to explore what and how to do in order to properly implement descriptive evaluation education for Home Economics subject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perception of descriptive evaluation among 51 students who were completing the preparatory tutoring course at J Teachers College in Jeonbuk region. And some of them were sampled and post-interview was conducted. Results The survey results and interview results were summarized according to a total of 5 sub-factors, and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freshman-sophomore and senior graders, subjective descriptive evaluation and professionalism perceived by senior graders were derived. Conclusion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ufficient education on basic knowledge related to descriptive evaluation should be further emphasized. Seco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sufficient experience in conducting practical descriptive evalua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increase the descriptive evaluation efficacy. Fourth, educational contents related to the ethical issues of narrative evaluation should be provid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점 및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