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지적장애 자매가 있는 초임 특수교사의 교육신념의 변화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An Autoethnography on the Changes of Educational Beliefs of a Beginning Special Education Teacher Influenced by a Sister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 30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3호.jpg

목적 이 연구는 지적장애인 자매가 있는 초임 특수교사가 특수학교 교육현장에서 경험한 교육신념의 변화를 알아보고, 그 의미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자문화기술지는 자기의 경험을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이해하고 분석함으로써 자기성찰 및 반성을 끌어내는 연구 방법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나’는 지적장애인 자매라는 사회문화와 초임 특수교사라는 사회문화의 상호작용을 통해 형성되고 변화된 교육신념을 풀어내고자 이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자료는 블로그 교직 일기, 개인 일기, 기억자료, SNS 자료, 문헌자료 등의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한 자료는 감정코딩과 가치코딩 방법을 중심으로 지속적 비교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나는 특수교사가 되기 전 가정, 학창 시절, 교원양성기관에서의 경험을 통하여 ‘특수교사는 아이들에게 무작정 최선을 다하는 교사’라는 신념을 가지게 되었다. 둘째, 나는 교사로 임용되고 특수학교에 근무하면서 학생, 동료 교사, 학교 문화에 대한 다양한 경험을 통해 특수교사가 되기 전 나에게 있던 교육신념에 혼란을 겪게 되었다. 셋째, 나는 교사가 되기 이전의 경험과 학교 현장에서의 경험을 통해 ‘교과, 교수법, 학생 이해 및 지도, 교사 업무에 전문성을 갖춘 교사’로 교육신념이 변화하였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삶의 맥락에 있는 특수교사의 교육신념에 대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 to find out the changes in the educational beliefs of a beginning special education teacher influenced by a sister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b) and to discuss its meanings. Methods An autoethnography is a form of qualitative research that draws self-reflection by understanding and analyzing personal experiences in a sociocultural context. To explore the issue by offering an autoethnography, in which the researcher observed the changes of educational beliefs formed through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culture of a family member who has a sister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the culture of a beginning special education teacher. The researcher collected the data from her teacher’s dairy blog, personal journal, memories, social networking service, and references. The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by constant comparison method, based on methods of emotion coding and values cod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s. Results First, through experiences from home, school days, and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before becoming a special education teacher, the researcher formed beliefs that a special education teacher should be a diligent teacher who does one's best for her students. Second, after becoming a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having work experiences with students, colleagues, and school culture, the researcher got perplexed with the educational beliefs she had before teach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ird, through her life and teaching experiences, the researcher's educational beliefs have changed from being a diligent teacher to a competent teacher in subjects, teaching methods, guidance, and school tasks. Conclusions Based on the main results, the researcher suggested implic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on the educational belief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various life contexts.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