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간호사의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 전문직자아개념, 자기통제력이 환자중심간호에 미치는 영향
Psychiatric Nurses' Attitude Toward the Mentally ill Effect of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Self-Control on Patient-Centered Nursing: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the grit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제23권 3호
-
2023.02829 - 842 (14 pages)
-
DOI : 10.22251/jlcci.2023.23.3.829
- 639

목적 본 연구는 정신간호사를 대상으로 환자중심간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자료 수집은 2022년 1월 한 달간 서울 및 경기도에 소재한 정신병원 10곳에서 시행하였고, 190부를 배부하고 이 중 회수된 184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측정 도구는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 전문직자아개념, 자기통제력, 그릿, 환자중심간호 도구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IBM SPSS/WIN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é-test와 Pearson’s correlation, 통계적 유의성 검증은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중심간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나이, 경력, 최종학력, 직위 등에 따라 환자중심간호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 전문직자아개념, 자기통제력이 환자중심 간호에 미치는 영향과 그릿의 매개효과의 결과를 살펴보면 독립변수들과 매개변수인 그릿이 종속변수인 환자중심간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모형으로 설명력은 27.6%로 나타났고(adj R2=.260, F=17.041, p<.001), 전문직자아개념(B=.251, p<.001), 그릿(B=.201, p<.05)이 환자중심간호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전문직자아개념은 환자중심간호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그릿을 통해서도 간접적으로도 긍정적 영향을 미쳐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기통제력은 환자중심간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지만, 그릿을 통해 간접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미쳐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보아 정신간호사의 그릿을 향상할 수 있는 교육 및 상담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understand the impact on patient-centered nursing in psychiatric nurses. Methods Data was collected at ten mental health hospita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in January, 2022. A total of 19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184 were returned and used in the final analysis. Collected data was analyzed in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é-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tested through bootstrapping. Results The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in patient-centered car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care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position. A three-step model examined the effects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mediating variable, grit, on patient-centered care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it had an explanatory power of 27.6% (adj R2=.260, F=17.041, p<.001). Professional self-concept (B=.251, p<.001) and grit (B=.201, p<.05) had significant positive (+) effects on patient-centered care. Conclusions Professional self-concept had direct positive impacts on it and also indirect positive impacts via grit, which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Self-control had indirect positive effects on it via grit, which had full mediating effect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