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관리 성과로서 주민참여 의의와 정책적 대안모색의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Resident Participation as a Performance of Disaster Management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한국위기관리논집
- Vol.18 No.12
-
2022.121 - 13 (13 pages)
-
DOI : 10.14251/crisisonomy.2022.18.12.1
- 91

본 연구는 재난은 사회적으로 배태되어 있다는 관점에서 재난관리를 위해 다양한 이해관계자와 참여자를 고려한 정책적 대안의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즉, 재난관리의 성과는 정부의 관리적 측면인 행정관리역량이나 산출지표 등으로 이해되어 오던 기존의 논의와 더불어 재난관리의 과정이자 결과인 지역주민의 자발적 참여를 성과로 이해하고자 한다. 재난에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주민참여는 재난에 대한 대응과 복구를 넘어 공동체의 회복과 성장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재난관리의 성과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재난관리의 성과로서 주민들을 재난관리에 참여하게 만드는 영향요인을 살펴보았으며 분석결과, 기존의 행정역량과는 차별화되는 결과들이 도출되었다. 재난의 직접적 피해경험, 재난에 대한 개인적혹은 지역적 위험 인식, 재난으로 인한 지역 간 갈등, 재난정보의 신속성, 재난조직의 정치적 독립성이참여를 증진시키는 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policy alternatives that consider various stakeholders and participants for disaster management from the perspective that disasters are socially embedded. In other words, the performance of disaster management can be defined by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which is the process and result of disaster management, along with the existing discussions that have been understood as administrative management capabilities and output indicators. This is because voluntary and active participation of residents in disasters lead to the recovery and growth of the community. In this research, the influencing factors that make residents participate in disaster management were examined and different results from the existing administrative capabilities were derived. It was found that the direct damage experience of disasters, the perception of personal or regional risks to disasters, regional conflicts due to disasters, the rapidity of disaster information, and the political independence of disaster organizations were important to promote the voluntary and active participation in disaster managemen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Reference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