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근현대사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1910년대 전북지역 獨立義軍府의 조직과 활동

The organization and activities of Dokripeuikumbu in Jeonbuk Area during the 1910s

1910년대 전북지역 독립의군부의 조직과 활동에 관한 연구이다. 독립의군부는 1912년 9월 재야유생과 전직관료들이 서울에서 조직한 復辟主義계열의 독립운동단체이다. 독립의군부를 조직한 재야유생의 대표적 인물은 崔益鉉의 문인 郭漢一과 李侙이었다. 따라서 전북지역 조직은 최익현의 문인과 이들이 중심이 된 태인의병에 참여했던 이들이 중심이 되었다. 독립의군부는 1912년 9월 태인의병장 林炳瓚에게 칙명을 전달해 전라도 지역으로 조직을 확대하고자 했다. 그러나 임병찬은 참여에 유보적인 모습을 보였다. 독립의군부는 1912년 11월과 1913년 1월 이식과 李寅淳을 통해 계속해서칙명을 전달했고, 임병찬은 참여를 결정했다. 임병찬은 전라남북도에서 부원을확보하며 거병을 추진했으나 1913년 3월 발각되고 같은해 5월(양) 독립의군부의 일부 부원들이 체포되면서 활동에 제약을 받았다. 그러나 전북지역에서는 임병찬 외에도 칙명을 받은 이들이 있었고, 이들을중심으로 조직이 확대될 수 있었다. 특히 고창 출신의 高石鎭과 崔銓九 등이서울과 전북지역을 오가며 부원확보에 주력했고 長興高氏 문중의 인물들을 중심으로 조직이 확대되었다. 이러한 배경에는 최전구뿐만 아니라 장흥고씨 문중의 인물들이 최익현과 고석진의 문인, 그리고 태인의병 출신이라는 점이 작용한것이었다. 이처럼 전북지역 조직은 최익현의 문인과 태인의병 출신들이 중심이었고, 임병찬뿐만 아니라 다수의 인물들이 다양한 방법으로 독립의군부에 참여했다. 이러한 특성은 1914년 6월 임병찬이 체포된 후에도 전북지역 조직이 지속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요인이었다. 독립의군부는 임병찬이 체포되면서 해산되었다는 것이 정설처럼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임병찬이 체포된 후에도 경북·전북· 충북·충남지역의 조직은 건재했고, 1917년 4월까지 거병을 추진하던 중 발각되어 해산되었다. 전북지역 조직도 이때까지 활동을 전개했으며, 독립의군부가해산되면서 해산되었다.

This study is on the organization and activities of the Doklibuikunbu in Jeonbuk area during the 1910s. The Doklibuikunbu was an organization for independence movement organized by Confucian scholars and former bureaucrats in Seoul, September, 1912. Gwak, Han-il and Lee, Chik, disciples of Choi, were the representative people. The Jeonbuk branch was led by disciples of Choi, Ikhyeon and the person who participated in the Taeinuibyeong. In September, 1912, the Doklibuikunbu requested cooperation to Lim, Byeochan, the chief of the Taeinuibyeong, for participating in them, to broaden its boundary in Jeonbuk area. Lim, Byeochan, however, hesitated to participate in them. The Doklibuikunbu requested continuously Lee, Chik and Lee, Insun to cooperate, and Lim, Byeo-chan decided to participate in January, 1913. Lim, Byeochan tried to recruit and raise an army, but in March, 1913, he tentatively stopped the recruiting because of being detected by the Japan and resumed in November, 1913. Other people also get the request, so the organization expanded within the Jeonbuk area. Especially, Ko, Seokjin and Choe, Jeongu from Kochang area tried to recruit members and Jangheung Ko family led the recruit. The reason was that many of the Jangheung Ko family were disciples of Choi, Ikhyeon and Ko, Seokjin, and participants of the Taeinuibyeong. The Doklibuikunbu was led by disciples of Choi, Ikhyeon and participants of the Taeinuibyeong, and Lim, Byeochan and many other people also participated in the organization with differing ways. This is why the organization was continuously active in Jeonbuk area even after Lim, Byeochan was arrested in May, 1914. It is said that the Doklibuikunbu was dispersed after Lim, Byeochan was arrested, but even after Lim, Byeochan was arrested, the organization remained undiminished in Gyeongbuk, Chungbuk and Chungnam area. After detected the effort to raise an army by the Japan, the Doklibuikunbu was dispersed in April, 1917. The Jeonbuk branch was active, but after the Doklibuikunbu was dispersed, the branch was also dispersed.

1. 머리말

2. 전북지역 독립의군부의 조직과 특성

3. 전북지역 독립의군부원의 성격

4. 전북지역 독립의군부의 해산

5.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