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근현대사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1950년대 미군대한원조(Armed Forces Assistance to Korea, AFAK) 프로그램의 수립과 시행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Armed Forces Assistance to Korea (AFAK) Program in the 1950s

‘미군대한원조(A rm ed Forces A ssistance to K orea, A FA K ) 프로그램’은전후 미국의 대외원조 자금을 바탕으로 주한미군과 한국 지역사회의 자발적인노력을 결합시켜 해당 지역의 공공 프로젝트를 완성시키는 사업이었다. 본고는AFAK 프로그램 연구의 시작 단계에 있는 글로서, 프로그램 수립 과정과 기획방향에 대한 기초적인 사실을 밝히는 데 중점을 두었으며, 1950년대 프로그램의 시행 결과에 대한 이해를 시도하였다. AFAK 프로그램은 휴전 협정 직후 워싱턴 최고위층이 미국의 냉전 전략 하에서 한국의 전후 복구와 재건에 주한미군을 활용하려는 의도에서 구상하였던전시성을 지닌 사업이었다. 이에 따라 주한미군을 대규모 재건사업에 활용하고자 했던 한국 정부의 입장과는 달리, 미국은 건설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학교, 공중보건 시설, 고아원 등 소규모 실용적 시설의 재건을 목표로 프로그램을 시행해 나갔다. 미군의 지원은 기술력과 자재 및 특수 중장비의 제공으로 제한되었기 때문에 해당 지역사회는 현지 물자와 노동력을 최대한으로 제공하였다. 한국군의 프로그램 참여 또한 점차 확대되었다. 상당수의 프로젝트는 전후 복구사업이 절실했던 사업 초기에 주로 집중되었으며, 1959년 말 기준 4천 건 이상의 프로젝트가 완료되었다. 구상 단계에서 전시성을 강하게 띠었던 A FA K 프로그램은 실현 과정에서 상당한 성과를 달성하며 한국의 지역사회에 적지 않은영향력을 미쳤다.

‘The Armed Forces Assistance to Korea Program’ was a post-war program that combined voluntary efforts of the United States Forces in Korea and the Korean local communities funded by the U.S. foreign aid to guide completion of public projects in relevant areas. This paper aims to outset on a foothold in the study of the AFAK program by focusing on its establishment and planning stages to understand the consequences of its implementation in the 1950s. Envisioned by the top Washington officials shortly after the signing of the armistice agreement, the AFAK program was an exhibitionist project to utilize U.S. forces to restore and rebuild Korea after the Korean War under the American Cold War stratagem. In turn, despite the Korean government’s insistence to place American troops in large-scale rehabilitation projects, the U.S. implemented practical construction projects to build small-scale facilities such as schools, public health facilities, and orphanages. The U.S. military assistance limited to technical support, supply of materials and special heavy equipment meant that the local communities supplemented supplies and labor on site. The Korean military, too, gradually expanded its involvement in the program. Majority of the rehabilitation projects were mostly concentrated in the inception periods of the program. By the end of 1959, more than 4,000 projects had been completed. The AFAK program, which was highly exhibitive in its conceptual stage, achieved considerable outcome in its implementation stage and left substantial impact on the local-level in Korea.

1. 머리말

2. AFAK 프로그램의 수립 과정

3. AFAK 프로그램의 기획

4. 1950년대 AFAK 프로그램의 시행

5.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