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근현대사학회.jpg
KCI등재 학술저널

아시아태평양전쟁기 일본군의 광주·전남지역 군사시설 건설과 전쟁유적의 성격

The Construction of Military Facilities in Gwangju and Jeonnam provin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War Relics during the Asia-Pacific War

아시아태평양전쟁 말기 일본은 한반도 남서해안에 수많은 군사시설을 건설했다. 일제 식민지기 군사적으로 그다지 중요하지 않았던 광주·전남지역은 전쟁 막바지 가장 치열한 전장이 될 운명이었다. 제주도를 중심으로 한 일본군의군사 활동이 학계의 주목을 받았던 반면, 광주·전남지역은 상대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지 못했다. 이 글에서는 일본군이 광주·전남지역에 남긴 전쟁유적을 육군과 해군으로 나누어 기술하고 그 성격에 대해 살펴보았다. 일본군은 1945년 초부터 미군의 공격을 막기 위해 광주·전남지역에 육군과해군 부대를 증강하는 한편 그에 대응한 군사시설을 확충해 나갔다. 이들은 그성격에 따라 육상과 해상군사시설, 그리고 항공군사시설로 나눌 수 있는데, 지금도 상당수가 남아 있다. 일본 육군이 광주·전남지역에 건설한 군사시설은 방어와 감시 시설, 주정기지, 그리고 비행장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주정기지는 미군의 해상봉쇄를 피해군수물자를 운송하려는 목적으로 목포를 비롯하여 남서해안 여러 도서지역에건설했다. 아울러 목포 인근에 육군비행장을 건설했는데 해상의 중요지와 수송선단 보호를 목적으로 한 것이었다. 일본 해군이 광주·전남지역에 건설한 군사시설로는 대표적으로 항공기지를들 수 있다. 특히 광주와 여수에 비행장 활주로를 중심으로 탄약고와 연료고등 관련 시설들을 다수 건설했다. 광주에는 활주로는 남아 있지 않지만, 연료고와 탄약고로 사용하기 위해 구축했던 지하시설이 다수 확인된다. 여수에는 해안에 콘크리트로 구축한 활주로 유구가 남아 있고, 역시 인근에 관련 시설물들이확인된다. 특히 여천초등학교 뒤편에 대규모 지하시설이 있는데 그 건설 목적에대해서는 향후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일본군이 광주·전남지역에 구축했던 비행장 엄체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엄체는 항공기를 공습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구축한 반원형의 콘크리트 구조물이다. 일본군은 이들 엄체를 특공용으로 활용하기 위해 만들었다. 아울러 전쟁 말기 한반도에 주둔했던 제5항공군은 총 700기의 항공기를 보유하고있었는데, 이 중 500기를 특공용으로 편성하기도 했다. 일본군은 침략전쟁의지속을 위해 한반도 남서해안을 ‘자살 공격기’의 발진 기지로 만들었던 것이다.

At the end of the Asia-Pacific War, Japan built numerous military facilities on the southwe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Gwangju and Jeollanam-do, which were not very important militarily, were destined to be the fiercest battlefield at the end of the war. While the Japanese military’s military activities centered on Jeju Island drew attention from academia, the Gwangju and Jeonnam regions did not receive much attention relatively. In this article, the war remains left by the Japanese military in Gwangju and Jeollanam-do were described by dividing them into army and navy,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Since the beginning of 1945, the Japanese military has strengthened military and naval units in Gwangju and Jeollanam-do to prevent U.S. attacks, while expanding military facilities corresponding to them. They can be divided into land, sea, and air military facilitie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and many still remain. Military facilities built by the Japanese Army in Gwangju and Jeollanam-do include defense and surveillance facilities, boat bases, and airfields. In particular, the main base was built in Mokpo and other island areas on the southwest coast for the purpose of transporting military supplies to avoid the U.S. military blockade. In addition, an army airfield was built near Mokpo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the importance of the sea and the transportation fleet. A typical military facility built by the Japanese Navy in Gwangju and Jeollanam-do is an air base. In particular, a number of related facilities suchas ammunition warehouses and fuel warehouses were built around the runway of the airfield in Gwangju and Yeosu. There are no runways left in Gwangju, but a number of underground facilities built for use as fuel and ammunition warehouses are confirmed. In Yeosu, concrete-built runway remains on the coast, and related facilities are also identified nearby. In particular, there is a large-scale underground facility behind Yeocheon Elementary School, and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the purpose of the construction. Finally,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aircraft shelter that the Japanese military built in Gwangju and Jeollanam-do. The aircraft shelter is a semi-circular concrete structure built to protect aircraft from air strikes. The Japanese military made these bodies to use them for suicide attacks. In addition, the 5th Air Force, which was stationed on the Korean Peninsula at the end of the war, had a total of 700 aircraft, of which 500 were organized for suicide attacks. The Japanese military turned the southwe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into a launching base for “suicide attack aircraft” to continue the invasion war.

1. 서론

2. 일제의 본토결전과 광주·전남지역의 전장화

3. 광주·전남지역 일본 육군의 군사시설

4. 광주·전남지역 일본 해군 군사시설

5. 광주·전남지역 일본군 전쟁유적의 성격

6.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