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관광목적지로서 DMZ 브랜드자산에 따른 장소애착이 관광객의 지각된 위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emilitarized Zone's Brand Equity as a Tourist Destination on Place Attachment and Perceived Risk: Targeting Foreign Tourists to the DMZ

  • 38
한국관광학회.jpg

DMZ는 지난 60년 동안 인간의 손길이 미치지 않아 다양한 관광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DMZ 관광 활성화를 위해 DMZ를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2014년 1월 30일부터 3월 30일까지 약 2개월 간 총 500부를 배포하여 이 중 343부를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관광목적지로서 DMZ 브랜드자산이 장소애착과 지각된 위험에 미치는 영향의 구조적 관계를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DMZ 브랜드자산 중 공통적으로 지각된 품질이 장소정체성과 장소의존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그 다음 브랜드 충성도, 브랜드 인지도 순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 둘째, DMZ의 브랜드자 중 지각된 품질이 지각된 위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그 다음 브랜드 충성도, 브랜드 인지도가 유의한 음(-)의 영향을 미친다. 셋째, DMZ 장소애착 중 장소의존성은 지각된 위험을 감소시키는 반면 장소정체성은 지각된 위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The DMZ is a tourist attraction worthy of careful study due to its unique charm and potential to be an international tourist destination. For the survey, the respondents were selected among foreign tourists who have visited the DMZ.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about 2 months from January 30, 2014 to March 30, 2014. Among the 500 distributed questionnaires, 420 copies were collected and 343 copies were used for the actual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perceived quality had the most impact on place identity and dependence followed by brand loyalty, brand awareness. on the other hand brand associated image had no the effect on place identity. Secondly, perceived quality had the most impact on perceived risk followed by brand loyalty, brand awareness. on the other hand it was proven that the brand associated image had no effect on perceived risk. Finally, place dependence had the negative effect on perceived risk while place identity did not affect perceive risk.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실증연구

V. 결과 및 시사점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