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템플스테이 참가자의 사찰음식 인식이 만족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불교인과 비불교인이 어떠한 영향관계가 성립하지를 파악하여 검증하고자 하였다. 템플스테이는 2002년 월드컵 이후 외국인 한국불교 문화체험으로 보급되었으며, 국민들의 식생활 인식변화로 인하여 국내․외적으로 인정받은 우수한 체험관광 프로그램이다. 이를 위해 ‘2014년 서울시 템플스테이 위크’ 기간에 다녀온 체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2014년 12월 1일부터 12월 15일까지 자기기입식으로 설문조사가 이루어졌다. 총 298부가 수거되었으며, 이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53부를 제외하고 245부가 실증분석에 사용되었다. 사찰음식 인식이 만족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SPSS 22.0을 이용하여 요인분석과 신뢰성 검증을 위해서 단순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찰음식인식은 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찰음식 만족은 추천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찰음식인식이 만족 및 추천의도의 영향관계에 대하여 불교인과 비불교인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a Temple Stay Experience Tour, the largely increasing tour in South Korea, on customer’s perception,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on Korean temple food experience with comparative study on Buddhist and non-Buddhist tourists. Temple Stay is an excellent experience tour program that is recognized at home and aboard with the Korean government’s incentives on tourism and change in people’s perception of dietary life after 2002 World Cup. This study ver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mple food experiences, a Temple Stay’s characteristic, on perception,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on temple food. Total of 298 questionnaires have been collected, and 245 of them, subtracting 53 insincere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 factor analysis. SPSS 22.0 was used for a factor analysis and simple and multimeter retrospective study to examine the effect of temple food experience on perspective,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on temple food. Study result showed that: First, temple food percep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erspective. Second, the significan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recommendation intention. Third, temple food perception positive(+) effect of temple food perspective on recommendation intention was partially adopted.
I. 서론
II. 이론적 고찰
III. 연구방법
IV. 분석결과
V.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