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템플스테이 체험 참가자들의 주관성 연구

Templestay Participants’ Subjectivities: Q-Methodology

  • 73
한국관광학회.jpg

본 연구에서는 템플스테이 체험 참가자들의 주관적인 감정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주관성 연구로 알려진 Q방법론을 적용하여 템플스테이 체험 참가자의 인식과 유형에 대해 살펴보았다. 최근 현대인들의 개인 고립화 현상과 소외현상이 가중되고 있는 가운데 템플스테이가 가지고 있는 정신문화적 가치와 다양한 소통프로그램으로 사회 공익적 가치의 확대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템플스테이의 불교정신문화에 대한 이해는 더욱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정신적 가치를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의 제공으로 휴식을 넘어서 치유를 제공하고 나아가 개인과 사회의 건강한 통합을 제공하는 정신문화관광자원으로서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2014년 12월 25일∼2015년 1월 3일에 걸쳐서 부산에서 템플스테이에 참가한 경험이 있는 체험객 28명을 대상으로 Q진술문을 배포하고 회수하는 Q방법론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템플스테이 참여자들에 의한 인식과 유형은 자기성장/자연교류형, 관광/교육체험형, 힐링/치유체험형, 관광/스트레스 해소형으로 총 4가지로 나타났으며 이렇게 구분된 각각의 유형들이 향후 템플스테이 체험프로그램 개발의 기준과 방향을 제시하고 나아가 템플스테이 사업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 사료된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 and the type of experience participants of templestay by applying Q methodology known as subjectivity research to analyze objectively the subjective emotion of the experience participants of templestay. As the individual isolation phenomenon and the alienation phenomenon of modern people have grown recently, templestay as the moral cultural value and the various communication programs is realized to increase the social public value. Therefore, the understanding of Buddhist moral culture of templestay takes charge of a more important role and the need of the tourism resources of the moral culture is required as providing the programs which increased the moral value, the healing over the relaxation and furthermore the healthy integration of individuals and society. Q methodology was conducted by collecting Q statements target at 28 people that had an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emplestay in Busan from Dec. 25, 2014 to Jan. 3, 2015.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that the types of recognition level of templestay of templestay participants were totally 4 which were the type of selfgrowth, the type of tourism/educational experience, the type of healing/curing experience and the type of tourism/stress-relieved, and each analyzed type would suggest the standards and the direction of the experience program of the future templestay and furthermore would be considered to be contributed to invigoration of templestay industry.

I. 서론

II. 이론적 고찰

III. 연구방법

IV. 분석결과

V. 결론 및 고찰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