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축제 체험프로그램이 어린이 감정반응과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estival Experience Program on Children's Emotional Response and Sociality Development

  • 7
한국관광학회.jpg

최근 우리나라의 축제 트렌드는 바라보고 관람하던 형태에서 방문객 중심의 만지고, 느끼고, 체험하는 형태로 지속 발전해 나아가고 있다. 축제 방문객들의 방문 목적이 대부분 자녀교육, 새로운 경험, 인간관계 강화로 축제에서 더 많은 체험프로그램을 선호하고 있음이 밝혀져 대부분의 축제에서는 어린이 체험프로그램에 큰 비중을 두고 있다. 그리하여 축제 현장에서는 축제의 특성을 반영한 체험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축제 체험프로그램에 대한 어린이 감정반응이 매우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어린이 감정반응이 사회성 발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축제 체험프로그램을 통해서 어린이 감정반응에 긍정적인 영향으로 자기 자신만의 관점에서 탈피하여 다른 사람의 입장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능력인 조망수용능력에 가장 밀접한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성 발달에 영향이 있음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축제가 어린이의 사회성 발달에 있어서 현장 경험을 통한 매우 유용한 교육과정이 될 수 있음을 뜻한다. 이로써 축제 체험프로그램이 귀중한 어린이의 교육자원임을 인식하고, 창의적인 새로운 아이디어와 다양한 체험프로그램의 지속적인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recent trend of festivals in Korea is characterized by the steady evolvement from watching to visitor‐centered activities of touching, feeling, and experiencing. Most of festival visitors have been found to visit festivals in order to educate their children, to have new experiences, or to improve human relationships. Experience programs in festivals have educational effects for children’s physical growth and personality development, and they als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festivals. For these reasons, it is necessary to actively utilize experience program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festivals on the spot. Assuming that children’s emotional response to festival experience programs would be highly valuabl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how elementary school children’s emotional responses affected their social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ost noticeable positive effect of children’s emotional response to festival experience programs was the enhancement of their perspective taking ability, which is the ability to get out of one’s own perspective and to understand and accept others’ positions, and this effect promoted their social development. This finding means that festivals can be very useful education programs based on field experiences for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This also suggests that we need to recognize festival experience programs as valuable resources of children’s education and to develop new creative ideas and various experience programs continuously.

I. 서론

II. 이론적 고찰

III. 연구방법

IV. 분석결과

V.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