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 모형 연구
Renewable Energy Generation Prediction Model using Meteorological Big Data
- 한국전자통신학회
-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 제18권 제1호
-
2023.0239 - 44 (6 pages)
-
DOI : 10.13067/JKIECS.2023.18.1.39
- 95

태양광, 풍력 등의 신재생에너지는 기상조건 및 환경변화에 민감한 자원이다. 설치위치 및 구조에 따른 설비의 발전량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발전량 예측은 중요하다. 기상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주성분분석을 기반으로 데이터 전처리 과정을 진행하여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 시 영향을 미치는 피처간의 관계를 모니터링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영향을 미치는 민감도에 따라 데이터셋을 재구성하여 머신러닝 모델에 적용하여 예측도를 테스트 하였다. 제안한 모형을 사용하여 신재생에너지를 대상으로 기상환경에 따라 에너지 발전량을 예측하고 해당 시점의 실제 생산 값과 비교함으로써 랜덤 포레스트 회귀 분석을 적용한 에너지 발전량 예측에 대한 성능을 확인하였다.
Renewable energy such as solar and wind power is a resource that is sensitive to weather conditions and environmental changes. Since the amount of power generated by a facility can vary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and structure, it is important to accurately predict the amount of power generation. Using meteorological data, a data preprocessing process based o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conducted to monitor the relationship between features that affect energy production prediction. In addition, in this study, the prediction was tested by reconstructing the dataset according to the sensitivity and applying it to the machine learning model. Using the proposed model, the performance of energy production prediction using random forest regression was confirmed by predicting energy production according to the meteorological environment for new and renewable energy and comparing it with the actual production value at that time.
Ⅰ. 서 론
Ⅱ. 신재생 에너지 발전량 예측 모델
Ⅲ. 실험 환경 및 결과
Ⅳ. 결 론
Reference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