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우키요에(浮世繪)가 다양한 대중들에게 제시할 수 있었던 기능과 의미에 대해서 논의하는 것이다. 우키요에는 이상적인 세계, 과거, 그리고 미래의 묘사보다는 현실 묘사에 초점을 맞추는 회화이다. 우키요에는 목판화를 토대로 대량생산, 저렴한 가격을 통한 가격 경쟁력 확보, 원초적 욕망의 묘사, 대중성, 유희성, 그리고 카르페 디엠 성향을 추구한다. 일본의 우키요에가 고통스러운 현실의 긍정성을 확보하는 기능이 있는 것처럼, 한국의 조선시대 풍속화도 현실의 긍정성을 회복하는 기능을 지녔다. 전자가 세계적인 인기와 유행을 얻으면서 서양의 인상파 화가들에게 영향력을 행사했다면 후자는 상대적 인지도가 떨어진다. 지역의 차별적 특성이 가미된 문화상품이 경쟁력을 지닌 세계화 시대에 한국의 풍속화와 일본의 우키요에는 독창적 가치를 지닌다. 따라서 우키요에가 지닌 인지도를 활용하여 양국의 풍속화를 박람회 개최 및 전시관의 공동 전시 이벤트 콘텐츠를 통해서 활발한 문화 교류, 인지도 상승, 관광 소비자들의 수요 충족, 그리고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functions and meanings that Ukiyoe could present to various publics. Ukiyoe is a painting that focuses on depicting reality rather than depicting the ideal world, past, and future. Based on woodblock prints, Ukiyoe pursues mass production, securing price competitiveness through low prices, depicting original desires, popularity, playfulness, and carpe diem tendencies. Just as Japanese Ukiyoe has the function of securing the positivity of painful reality, Korean genre paintings of the Joseon Dynasty also have the function of restoring the positivity of reality. While the former gained worldwide popularity and fashion and exerted an influence on Western Impressionist painters, the latter has less recognition. In the era of globalization, where cultural products with regional distinctive characteristics are competitive, Korean folklore and Japanese Ukiyoe have unique valu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mote active cultural exchange, increase awareness, meet the demands of tourism consumers, and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by holding expositions and joint exhibition event contents in the pavilion to promote the customs of both countries by using the awareness of Ukiyoe.
1. 머리말
2. 한일 풍속화 출현 배경
3. 우키요에의 특성
4. 공동 전시 콘텐츠 방안
5.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