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중국이 수교한지 이제 30주년이 되었지만 지금의 한중관계에는 좀처럼 온기가 돌지 않고 있다. 오히려 양국 대중들 간의 극단적인 반중, 반한 정서로 인해 양국관계는 악화 일로에 있다. 한중 두 나라는 동북아 이웃 국가로 유사한 문화권 속에서도 복잡하게 얽혀있는 이해관계로 인해 오랜 기간 교류와 갈등을 반복해오며 성장해왔다. 오늘날 한국과 중국은 최대의 교역국가로 경제적으로 중요한 파트너가 되었으며, 동북아 평화를 위해 서로 협력해야 하는 공통된 과제를 안고 있다. 서로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 양국 간의 관계에 대해 그동안 정치⋅경제적인 측면에서의 분석이 주로 이루어졌으나, 여기서는 문화적인 측면에서 갈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런 양국의 문화갈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갈등에 대한 규명과 더불어 상이한 가치관에 대해 이해, 상호 간의 소통 등 긍정적인 문화교류 방안에 대해 모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글은 한중 갈등의 요인을 정리함과 동시에 한중문화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문화콘텐츠의 역할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It has now been 30 years sinc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ties between Korea and China, but the current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China is not warm. Ra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is deteriorating due to extreme anti-China and anti-Korea sentiments between the publics of the two countries. The two countries, as neighbors in Northeast Asia, have grown through repeated exchanges and conflicts over a long period of time due to complex intertwined interests despite similar cultural backgrounds. nowaday, after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ties between Korea and China, Korea and China have become economically important partners as the largest trading partners, and neighbors with common tasks to cooperate for peace in Northeast Asia.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which occupy an important position, has been mainly done in the political and economic aspects, but here we will examine the conflict in the cultural aspect. In order to overcome this cultural conflict between the two countries, we would like to seek positive ways of cultural exchange, such as understanding different values and mutual communication, as well as identifying the conflict. Therefore, this article aims to discuss the role of cultural contents in resolving the cultural conflict between Korea and China as well as organizing the factors of the conflict between Korea and China.
1. 머리말
2. 한중 문화교류 과정에서 갈등 요인 분석
3. 문화갈등 해소하기 위한 문화콘텐츠의 역할
4.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