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고고광장 31권.jpg
KCI등재 학술저널

팽이형토기문화 팽이형옹의 발생과 전개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Top-Shaped Jars in Top-Shaped Pottery Culture

팽이형토기문화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유물로는 팽이형옹을 꼽을 수 있다. 팽이형옹은 전체적인 기형과 동최대경 위치 및 세부 속성의 차이를 기준으로 할 때, 7개 형(A~G형) 13개식[AⅠ식(석교리식), AII식(표대32식), BI(신흥동식), BII(남경식), CI(침촌식), CII(석탄리식), CIII(표대4기층식), DI(표대2기층식), DII(주암리식), EI(표대1기층식), EII(주암리식), FI(마산리식), FII(고연리식)]으로 분류된다. 이외 구연부는 팽이형옹과 유사하면서 저부가 평저인 평저 유사팽이형토기가 있는데, 이러한 유형의 토기는 기형과 세부 속성을 기준으로 할 때, 4개형(A~D형) 6개식으로 분류된다. 기원전 12~11세기 대동강 중류하류단의 집단이 궁산문화 말기의 환저무문옹을 기능적으로 개선하면서 팽이형옹 AI식이 출현하였다. 기원전 9세기 중엽~8세기 전엽에는 AI식에서 B형과 CI식이, B형에서 D형과 E형이 분화되었고, 이후 점차적으로 형식 변천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A형을 발생기형과 초기형으로, B형~D형을 발전기형과 전형으로, 이중구연부와 기형 등에서 확연한 변이가 확인되는 E~F형을 후기형과 변형으로 설정할 수 있다. 팽이형옹은 기원전 8세기 전엽~7세기 요동 지역의 영향을 받아 평저 유사팽이형토기가 출현하는데, 말기에는 상당한 변이를 보이는 토기들이 확인된다.

A top-shaped jar is a artifact representing top-shaped pottery culture. The top-shaped jar is classified into 7 types(A to G types) and 13 styles[(AI style(Seokgyo-ri style), AII style(Pyodae No. 32 style), BI style(Sinheung-dong style), BII style(Namgyeong style), CI style(Chimchon style), CII style(Seoktan-ri style), CIII (Pyodae fourth layer style), DI style(Pyodae second layer style), DII style(Juam-ri style), EI style(Pyodae first layer style), EII style(Juam-ri style), FI style(Masan-ri style), and FII style(Goyeon-ri style)], depending on differences in overall pottery shapes and in the location and detailed attribute of the maximum body diameter. In addition, there is a flat base-similar top-shaped jar which has a vessel mouth similar to a top-shaped jar while the bottom is a flat base. This type of pottery is classified into 4 types (A to D types) and 6 styles according to a pottery shape and a detailed attribute. As the group living in the middle and lower streams of the Daedonggang River functionally improved the ring base plain coarse jar at the end of Gungsan culture in the 12th to 11th century B.C., the AI style of the top-shaped jar emerged. In the mid-9th to early-8th century B.C., AI style was differentiated into B type and CI style, and B type into D type and E type, and then the type gradually changed. In this sense, it is possible to set A type as the emergence pottery and initial types, B to D types as the development and former types, and E to F types, which changes are clearly identified in the double-rimmed vessel mouth and pottery shape, as the latter and transform types. In the case of top-shaped jars, in the early 8th to 7th century B.C., a flat base-similar top-shaped jar emerg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Liaodong region, and at the end of that period, it is confirmed that there existed some potteries with significant changes observed.

Ⅰ. 머리말

Ⅱ. 분류와 변천 관계

Ⅲ. 공단단계의 구분과 편년

Ⅳ. 팽이형옹의 발생과 전개

Ⅴ.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