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상감(金屬象嵌)이란 금속 기물의 표면에 홈을 파내어 문자나 문양을 새기고, 그 홈 속에 바탕 금속과 다른 재질의 금속을 끼워 넣어 장식하는 금속공예 기법이다. 삼국시대부터 등장하는 상감기법은 대도(大刀) 장식을 시작으로 6세기가 되면 마구(馬具)에도 확대된다. 약 0.3㎜ 폭의 상감기법 조사는 현미경과 X-선 투과조사를 이용하여 진행된다. 이를 바탕으로 상감홈과 상감선의 제작방법을 분석하고 제작실험을 통해 제작공방과 공인집단 관계를 규명하는 정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런데 홈파기 기법에 대한 연구자 간의 이견이 존재하고, 상감대도 제작지 문제도 여전히 답보(踏步)상태에 머물러 있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객관적인 자료 제시가 필수적인데, 필자는 3D 단층촬영(X-Ray CT) 데이터를 그 대안으로 제시한다. 최근 보고된 함안 도항리 537번지 유적, 부산 복천동 47호분, 함양 백천리 3-1호분 등 가야지역 출토 상감대도의 CT 데이터를 분석하여 가야지역 상감유물의 제작기법을 규명하고 그 특징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상감대도에서 확인되는 홈파기 기법(彫金, chasing)은 기장 가동 Ⅱ-43호 종장판갑, 부산 복천동 56, 69호분 판갑의 조금기법과 동일한 기법으로, 이미 4세기부터 확인되는 가야지역의 철제 무구의 장식으로 사용되는 재지 공방에 내재된 기술임을 확인할 수 있다.
The metal inlaying technique is a method of metal craft where a differing metal is inserted into a carved shape or text of the base metal. The application of this technique, which began in the Three-Kingdom Period with the decoration of swords, expanded to horse harnesses by the 6th century. Microscopes and X-rays were used when analysing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inlay grooves and lines, due to the inlays being about 0.3mm in width. Based on the analysis, various detailed research such as identifying the relations between the workshop and the manufacturer is being conducted. However, there are disagreements among the researchers regarding the carving method, and the location manufacturing facility for the inlaid sword. The author proposes the use of X-ray CT data as the conclusive data sourc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is paper analyses recently reported inlays in the Gaya region, such as the Hamyang Dohang-ri tomb No.5, the Busan Bokcheon-dong tomb No.47, and the Hamyang Baekcheon-ri tomb No.3-1.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CT data,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was identified. Comparisons of the inlaid sword from the Baekje and Silla regions were also made with the results. The chasing method identified in the inlaid sword was the same as those used in the Gijang Ga-dong Tomb No. II-43 vertical plate armour, the plate armours of Busan Bokcheon-dong tomb No.56 and 69. The technique was inherent in the local workshop and has been used since the 4th century for decorating steel armours.
Ⅰ. 머리말
Ⅱ. 문제 제기
Ⅲ. 가야지역 금속상감 신자료
Ⅳ. 신자료로 살펴본 가야 금속상감의 특징
Ⅴ.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