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호서고고학 54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화천 원천리유적 출토 토기의 유통양상에 대한 자연과학 분석

Analysis of Production Technology and Distribution Patterns of Pottery Excavated from the Hwacheon Woncheon-ri Site

본 논문에서는 화천 원천리유적 출토 한성백제 토기에 대한 자연과학 분석을 실시하여 한성백제 중심지역 생산 토기의 이 지역 유통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화천 원천리유적에서 출토된 백제 토기자료를 수습하고, 동 시기의 비교 대상 유적으로 풍납토성 경당지구 3층의 토기자료를 선별하여 함께 분석하였다. 이번 분석에서는 특히 원산지분석의 해상도를 높이기 위해 토기암석학분석(Ceramic petrography)와 중성자방사화분석(Instrumental Neutron Activation Analysis)을 병용하였다. 분석결과, 화천 원천리유적에서 출토된 실용토기와 고급기종 토기가 원산지를 상당 부분 공유하고 있어서 이들이 동일 지역(지점) 혹은 동일 제작 집단에 의해 생산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다. 또한 화천원천리유적 출토 고급기종 토기들은 풍납토성 고급기종 토기들과 분리되는 양상을 보여주었는데, 이는 이 시기 백제중앙의 고급기종 토기가 당시 백제의 변경(邊境)인 화천 지역으로는 유통되지 않았고 화천 지역 내에서 그 생산 및 유통이 이루어졌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또한 화천 원천리유적에서 출토된 고급기종 토기는 실용토기와 사실상 동일한 원재료로 생산되고 과반수가 거친 첨가제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서 여타의 백제 지방 취락에 비해 그 생산기술의 수준이 낮았다고 이해하였다.

In this paper, a series of scientific analyses were conducted on Baekje pottery excavated from the Hwacheon Woncheon-ri site in order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distribution of pottery which was produced in the central area of Baekje to this site, as well as to identify the nature of the production technology at this site. To this end, Baekje ceramic samples excavated from the site of Woncheon-ri, Hwacheon were selected. In addition, ceramic samples from the Gyeongdang District of Pungnab Fortress were also selected and analyzed as contemporaneous, comparable artifacts. In order to increase the resolution of the provenance study, Ceramic Petrography and Instrumental Neutron Activation Analysis were adopted. As a result, it could be identified that utilitarian pottery and prestige pottery from the Woncheon-ri site in Hwacheon shared common attributes in terms of the raw material that was used. This result strongly suggests that at least some of the vessels had been produced by the same production group or community. In addition, prestige ceramics excavated from the Woncheon-ri site illustrate a pattern of separation from the prestige ceramics of Pungnab Fortress, which suggests that the prestige pottery of the Baekje center may not have been distributed to the Hwacheon area during this period. In other words, it appears likely that the production community of prestige pottery may have operated within or around the Hwacheon area at the time.

Ⅰ. 머리말

Ⅱ. 분석개요 및 분석방법

Ⅲ. 분석결과

Ⅳ. 고찰 및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