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post.jpg
KCI등재 학술저널

재난피해자의 사회적 자본이 외상후스트레스장애의 변화궤적 유형에 미치는 영향: 잠재계층성장분석을 중심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재난피해자의 4년에 걸친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수준의 변화추이를 파악하고, 사회적 자본이 외상후스트레스장애의 변화궤적 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의 재난피해자 패널조사 1-4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잠재계층성장분석을 통해 외상후스트레스장애 변화궤적을 유형화하였다. 또한, 잠재 집단에 영향을미치는 인구 사회학적 요인, 재난 피해 요인, 사회적 자본 요인을 검증하기 위해 다항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난피해자의 외상후스트레스 변화궤적은 3개의 유형 즉, 저위험군(74.2%), 중위험군(20.4%), 고위험군(5.5%)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사회적 자본 중 사회적 결속 수준이 높을수록 ‘중위험군’이나 ‘고위험군’보다 ‘저위험군’에 속할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인명피해 경험이 있을수록 ‘저위험군’보다 ‘고위험군’에 속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재난 이전 주관적 건강 상태가 나쁠수록 ‘저위험군’보다 ‘중위험군’에속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토대로 재난피해자의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예방 및 개입을 위한 사회복지 정책⋅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rajectory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mong disaster victims for four years, and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the trajectory type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For this, this study used panel data from the Disaster Victim Panel Survey (wave 1-4) conducted by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and classified trajectory type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using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In addition,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socio-demographic, disaster victim, and social capital factors associated with latent group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trajectory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mong disaster victims, the latent group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which includes low-risk group (74.2%), moderate-risk group (20.4%), and high-risk group (5.5%). Second, the more level of social solidarity as one of social capital, the study participants were likely to be in a low-risk group rather than a high-risk group or a moderate-risk group. Third, the more having damage of human life, the study participants tended to be in a high-risk group than a low-risk group. Fourth, the worse the subjective health prior to the disaster, the study participants were likely to be in a moderate-risk group than a low-risk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discussed social welfare practice and policy implications for prevention and intervention of posttaumatic stress disorder among disaster victim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