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제주도연구 제59권.jpg
KCI등재 학술저널

을묘왜변 제주 대첩의 재조명과 역사적 의의

The Re-examination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Great Victory of Jeju along Eulmyo Japanese Invasion

DOI : 10.47520/jjs.2023.59.297
  • 114

1555년(명종 10) 5월, 왜구가 70여 척의 배를 거느리고 전라남도 남해안 일대를 침략하며 을묘왜변이 발생하였다. 이들은 전라도 일대에 큰 피해를 안기고 퇴각하다 동년 6월 21일 제주 앞바다로 집결하였다. 왜선 40여 척에 약 1,000여 명의 왜구들이 6월 27일 제주 화북포로 상륙하여 곧장 제주성으로 향했다. 제주성 동성(동문)과 산지천을 사이에 두고(현재 남수각) 3일간의 전투가 벌어졌다. 당시 제주목사 김수문은 70인의 효용군(驍勇軍)을 선발, 선제공격을 감행하였다. 김직손, 김성조, 이희준, 문시봉 등 4인이 말을 달려 적진을 휩쓸었고, 김몽근은 적장을 화살로 쏘아 쓰러뜨렸다. 이후 제주 군민(軍民)은 승세를 타서 추격하며 다수의 왜구를 목 베고 사로잡아 대첩을 거두었다. 을묘왜변의 전적은 『조선왕조실록(명종실록)』(1555.07.07.)에 의하면 ‘영암의 수성(守城)과 제주의 파적(破賊)’으로 기록되었으며, '(제주) 대첩(大捷)'으로 종결되었다. 을묘왜변 제주 대첩은 군관민(軍官民)이 일심동체로 전투에 나섰기 때문에 가능한 결과였다. 과감한 선제공격과 온전하게 잘 보존되어 있던 병기 등도 승리 요인으로 작동하였다. 을묘왜변 제주 대첩은 제주만의 승리가 아니었고, 조선 을묘왜변의 최종적 승리로 귀결된다. 또한 일본과 한반도 및 중국과 연결되는 해상 요충지 제주를 왜구로부터 지켜냈다는 점에서 당시 동아시아 평화 정착에 큰 역할을 했다. 바로 이 점에서 오늘날 을묘왜변 제주 대첩이 갖는 역사적 의미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Eulmyo Japanese Invasion occurred in May 1555(King Myeongjong 10), Japanese raiders with about 70 ships invading on the south coast of Jeollanam-do province. They gathered off the coast of Jeju Island on June 21 of the same year after retreating from Jeolla-do to great damage. About 1,000 Japanese raiders with 40 ships headed straight to Jeju Castle through Hwabukpo port on June 27. There was a three-day battle between Dongsung(east gate) of Jeju Castle and Sanjicheon stream(Namsugak). At that time, Kim soo-moon, a Jeju minister, made the first strike, selecting 70-member special forces(驍勇軍). Four of them including Kim jik-son, Kim sung-jo, Lee hi-joon, Moon si-bong swept the enemy lines riding horses and Kim mong-keun shot an enemy general down with an arrow. Since then, the people of Jeju were standing a good chance of winning and had a great victory, cutting many Japanese pirates off their throats and capturing them. This was not just Jeju’s victory, but it resulted in the final victory of Eulmyo Japanese Invasion in Joseon Dynasty. It played a major role in East Asian peace settlement at that time.

Ⅰ. 머리말

Ⅱ. 을묘왜변 이전 왜구의 제주침탈

Ⅲ. 을묘왜변 제주 대첩 사료 분석

Ⅳ. 을묘왜변 제주 대첩의 전개와 의미

Ⅴ. 맺음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