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역사인물자원으로서 김만일의 생애와 헌마 업적 연구

A Study on the Life and the Achievement of Contributing Horses of Kim Man-il as a Historical Character Resource

  • 88
제주도연구 제59권.jpg

이 글은 사료분석을 통한 김만일(1550-1632)의 생애와 헌마 업적을 종합하기 위한 내용이다. 김만일은 제주인으로서 조선시대 전마를 나라에 헌마함으로써 국난극복에 공헌했으며, 국방과 외교에도 기여했다. 또한 우리나라 마정사 및 마문화 발달은 물론, 일상생활에 이르기까지 영향을 끼쳤던 역사인물이다. 그는 헌마의 공로로 고위 관직을 제수받았을 뿐만 아니라, 조선시대 유일한 헌마공신이 되었고, 높은 벼슬에 올라 사회·경제적 지위를 성취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그의 행적은 주로 『조선왕조실록』 등 관찬 사료는 물론, 사찬 사료에도 산재해 전하고 있다. 인물의 생애와 업적에 관한 연구는 지역문화의 원형 자료를 마련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이에, 김만일에 관한 가치 있는 사료에 우선 주목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정리하는 데 연구의 주안점을 두었다. 또한 사료분석을 하면서 그 내용을 기록하게 된 이유나 배경 등을 조선의 정세와 시대적 상황에 비추어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역사에 큰 족적을 남겼음에도 일반인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김만일이 앞으로 제주의 역사인물자원으로 다양하게 활용되었으면 하는 바람을 담는다.

This article is intended to synthesize the life and the achievement of contributing Horses Kim Man-il(1550-1632) through the analysis of historical materials. Kim Man-il contributed to overcoming the national crisis by donating war horses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also contributed to national defense and diplomacy. In addition, he is a historical figure who influenced not only the development of horse history and horse culture in Korea but also daily life. It can be evaluated that he was not only awarded a high-ranking government post for donating war horses but also achieved social and economic status by climbing to a high government post. Therefore, the focus of the research was on systematically analyzing and organizing valuable historical data about Kim Man-il. In addition, the reasons and backgrounds for recording the contents during historical analysis were critically reviewed in light of the situation and times of Joseon.

Ⅰ. 서론

Ⅱ. 김만일의 가계와 김만일의 행적

Ⅲ. 김만일의 헌마 과정과 업적

Ⅳ. 김만일의 헌마 업적에 대한 현대적 평가

Ⅴ.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