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생명연구 제67집.jpg
KCI등재 학술저널

정신장애인들의 문화예술 및 유튜브 크리에이터 활동 참여와 회복 경험

Participation in YouTube Creator Program with Culture and Arts Activities and Recovery Experience of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Focusing on ‘On-tact Together’ Project

DOI : 10.17924/solc.2023.67.169
  • 180

본 연구는 '온택트-투게더' 프로그램에 참여한 정신장애인들의 경험을 그들의 시각과 관점에서 알아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10명의 정신장애인들을 대상으로 일반적 질적연구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코로나로 집안에 갇힘', '비대면과 대면: 갇힘과 나옴', '기관: 보호와 인정의 안전지대', '타인과 연결되어 성장함', '일상을 관리하고 일을 통해 세상에 나가기를 희망함'이라는 5개의 주제와 23개의 하위주제, 82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참여자들이 팬데믹에서 앤데믹으로 나아가는 기간에 문화예술 활동과 사회적 지지를 부여하는 온택트-투게더 프로그램의 참여를 통해 사회적 재결합과 회복으로 나아가는 여정을 경험하였음을 제시하였다. 또한 온택트-투게더 프로그램은 참여자들에게 유튜브, 화상회의, SNS 소통에 기초한 사회적 참여의 새로운 공간을 열었고, 그들이 그 공간의 소비자뿐만 아니라 생산자로서 자신감 있게 활동하는 기술과 도구를 제공함으로써 임파워먼트의 향상의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u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mental health service users who participated in ‘the On-tact Together Project’ based on culture and arts activities and YouTube creator courses. Using a gener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ith in-depth interviews with 10 participants, 5 themes, 23 sub-themes, and 82 semantic units were drawn. A total of five themes are 'Stuck at home due to Covid 19', 'Non-face-to-face and face-to-face-Trapped and coming out', 'Institution-Protection and safety zone', 'Connected with others to grow and preparing for future, Managing daily life and hoping to go out into the world through work'. The research results suggest the process to recovery was presented through the experience of the On-Tact Together program with institutional support and social support during the endemic. The results also indicate that the On-tact Together program might open a new space of social inclusion based on YouTube, video conferencing, and SNS communication to the participants, and provide the technology and tools that enable them to act confidently as producers as well as consumers of the space.

Ⅰ. 서론

Ⅱ. 문헌 검토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