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The Impact of Career Adaptability on Job Search Intensity and Employment Satisfaction in tourism management senior students: the Mediating role of the Job Search Intensity

관광학과 대학생의 진로적응성이 구직강도와 고용만족에 미치는 영향: 구직강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3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는 서울, 경기권내 관광관련 학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적응성이 구직강도의 매개효과를 통한 고용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진로적응성과 진로만족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구직강도의 중요성을 살펴보자 하였다. 또한 진로적응성과 고용만족과의 관계에서 구직강도의 중요한 역할을 확인하기 위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AMOS를 통해 분석한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인과적 모형은 지지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가설은 지지된 것으로 밝혀졌다. 구체적으로 진로관심은 구직강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진로통제 또한 구직강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진로호기심 또한 구직강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진로자신감도 구직강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직강도 또한 고용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매개효과 검증으로 진로적응성은 구직강도를 통해 고용만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진로적응성과 고용만족을 이해하는데 구직강도의 중요한 역학을 살펴 볼 수 있었으며, 구직활동을 준비하는 대학생들에게 효과적인 진로성과를 위한 취업 교육 프로그램과 카운슬링 개발의 중요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and Hypotheses

Ⅲ. Research method

Ⅳ. Analysis Result

Ⅴ. Conclusion

Reference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