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개인의 역량이 서비스 성과로 직결되는 항공사 객실승무원 조직을 대상으로 개인-환경 적합성이 조직매력성 지각과 친사회적 서비스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객실승무원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론적 고찰을 통해 도출한 연구가설을 통계적으로 검정하여 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객실승무원이 인지한 개인-환경 적합성은 부분적으로 조직매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객실승무원이 인지한 개인-조직 적합성은 친사회적 서비스 행동 중 역할내 행동과 협조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나, 역할외 행동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직무 적합성은 친사회적 서비스 행동의 역할내 행동, 역할외 행동, 협조적 행동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객실승무원이 지각하는 조직매력성은 친사회적 서비스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상대적으로 역할외 행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객실승무원과 환경 간의 적합성을 고려한 효과적인 인적자원 관리방안과 친사회적 서비스 행동의 수준을 향상시키는 전략 마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son-environmental fit on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attractiveness and prosocial service behavior targeting airline cabin crew organizations.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for cabin crew, and the research hypotheses deriv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were statistically tes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The summary of the analysis results is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person-environment suitability perceived by the cabin crew partially had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attractiveness. Second, the person-organizational fit perceived by cabin crew was found to be a factor that had a positive effect on inner-role behavior and cooperative behavior among prosocial service behaviors, but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extra-role behavior. Third, it was confirmed that person-job fit has a positive effect on all pro-social service behaviors inner-role behavior, extra-role behavior, and cooperative behavior. Fourth, organizational attractiveness perceived by cabin crew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rosocial service behavior, and it was found to have a relatively greatest effect on extra-role behavior.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plans considering the suitability between cabin crew and the environment and strategies to improve the level of prosocial service behavior.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III. 연구방법
IV. 실증분석 결과
V.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