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달장애 청소년의 비대면 사회적 의사소통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 조사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 인구 증가 및 COVID-19 팬데믹 등 시대·환경적 요인을 고려하여 발달장애 청소년이 스스로 생각하는 비대면 사회적 의사소통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19세 이상 24세 미만의 발달장애 청소년 5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기숙사 생활을 통해 독립적인 생활이 가능하며 자신의 의사표현이 가능한 대상자로 연구 참여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연구진이 개발한 온라인 설문지를 K시 발달장애 평생교육기관 발달장애 청소년의 스마트폰에 전송하여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발달장애 청소년의 비대면 사회적 의사소통 프로그램에 대한 필요성과 참여에 대한 인식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프로그램의 진행방법과 구성에 있어서는 짧은 회기와 짧은 소요시간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언어적 화용기술(nonverbal pragmatic skills)에 비하여 언어적 화용기술(verbal pragmatic skills)의 응답률이 높게 나타났다. 발달장애 청소년은 적절한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을 통하여 원활히 사회에 적응하기를 기대하였다. 이에 그들의 요구와 기대에 근거하여 시대적 상황에 맞는 적절한 비대면 사회적 의사소통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understanding and demand of youth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r Contact-free social communication programs, taking into account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he increase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COVID-19 pandemic. For this,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54 Youth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etween the ages 19 and 24. The research subjects were selected as those who voluntarily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s those who were able to live independently through dormitory and well-express their opinions. Online questionnaire data which is developed by investigator were collected by youth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t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in K city. As a result, Youth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d a high awareness of the need and participation will in Contact-free social communication programs. Regarding the reasons for the negative response, environmental factors such a use of equipment and lack of personnel support. In terms of program progress and composition, short sessions and time were preferred, and verbal pragmatic skills are more required than non verbal pragmatic skills. Youth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expected to adapt in society through appropriate social communication skills. Based on their needs and expectations, An appropriate Contact-free social communica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