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년보호관찰 위험대상자의 건강위험행동에 대한 베이지안 잠재계층모형 분석
청소년기를 중심으로
- 유근환
-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 사회융합연구
- 제7권 제1호
- 등재여부 : KCI등재
- 2023.02
- 75 - 87 (13 pages)
본 연구에서는 잠재계층모형을 통해서 각 소년보호관찰 위험대상자인 청소년기의 건강위험행동에 반응하는 정도가 다르다는 가정 하에 각기 다른 잠재적인 위험군에 속한 소년보호관찰 위험대상자인 청소년기의 문제행동 정도가 서로 다른 특성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첫째,‘자기효능감’ 을 기준으로 가정환경, 학업, 자녀, 정신상태, 호흡기, 정신건강의 수준이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화기의 경우 사회적 지지가 낮았다. 둘째,‘사회적 지지’를 기준으로 수면 및 신체활동, 호흡기나 순환기, 정신건강이 낮을수록, 개인위생이 낮을수록 적극적 대처 전략이 높았다. 셋째, ‘적극적 대처전략’을 기준으로 수면 및 신체활동, 개인위생, 학업과 정신상태, 호흡기나 순환기 수준이 낮을수록 적극적 대처전략이 높았다. 따라서, 청소년의 건강위험 행동의 개선을 위한 건강증진 통합관리 서비스의 컨트롤타워 기능을 제공하는 제도적 장치의 마련이 시급하다. 그리고 청소년기 건강증진 정책 수립에 있어서 다각적 접근의 필요하다.
In this study,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degree of response to health risk behaviors of each juvenile probation risk target is different through the latent class model, the degree of problem behavior of early juveniles belonging to different potential risk groups is different. We want to confirm that it has a characteristic.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based on 'self-efficacy', the higher the level of home environment, academic, children, mental state, respiratory, and mental health, the higher the social support. In the case of fire extinguishers, social support was low. Second, based on 'social support', active coping strategies were higher when sleep and physical activity, respiratory or circulatory system, and mental health were lower, and personal hygiene was lower. Third, based on the 'active coping strategy', the lower the level of sleep and physical activity, personal hygiene, academic and mental status, respiratory or circulatory system, the higher the active coping strategy. Therefore, it is urgent to improve the program and provide health promotion integrated management services for the discovered subject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take a multilateral approach considering the type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in establishing health promotion policies for early youth.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