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jpg
학술대회자료

화재수신기의 안전성 강화를 위한 서지보호장치 효과성 연구

전력공급이 일시적으로 중단되거나 외란 등으로 인해 전압이 순간적으로 허용범위를 벗어나는 고조파, 전압의 불평형, 전압의 순간변동(transient), 서지(surge)의 발생 등은 수용가측 설비의 회로와 부하에 전기적인 절연을 파괴하고 오동작을 일으키는 등 수많은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기상청 낙뢰 연보에 따르면 연평균 약 118천 건의 낙뢰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한 급격한 전압변화(서지)는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오동작 및 파손 가능성을 증대시키고 있다.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경우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의 서지보호장치(SPD) 설치 규정(의무) 없는 실정이다. 국내의 경우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8조 제7항, 제8항에 따라 전기설비의 접지계통과 건축물의 피뢰설비 및 통신설비 등의 접지극을 공용하는 통합접지공사를 규정하고 있다. 이를 위해 KS C IEC 60364-5-53(534. 과전압 보호 장치)에 따라 서지보호장치(SPD)를 설치하여야 하며, SPD는 KS C IEC 61643-11에 적합한 것으로 규정한다. 또한,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규칙』 제20조에 따라 피뢰설비는 한국산업표준이 정하는 피뢰레벨 등급에 적합한 피뢰설비로 규정하며, 전기설비의 접지계통과 건축물의 피뢰설비 및 통신설비 등의 접지극을 공용하는 통합 접지공사를 할 때에는 서지보호장치를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외에서 규정하고 있는 서지보호장치 규정에 따라 전기⋅통신 설비가 복합된 자동화재탐지설비에 대한 서지보호장치의 필요성 및 효과성 여부를 실증하고, 화재안전기준 제⋅개정 등에 활용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