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jpg
학술대회자료

국내외 일산화탄소 화재감지기 시험기준 분석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Carbon Monoxide Fire Detector Test Standard

최근 2018년 강원도 강릉펜션 일산화탄소 누출 사고, 2019년 전주 여인숙 화재 사고 등 일산화탄소로 인한 인명사고가 연이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화재들에서 인명사고의 주된 원인은 일산화탄소 등 유독가스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화재로 인한 일산화탄소의 발생을 감지하고 경보하기 위해서 국내외에서는 관련 연구 및 법령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발전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실규모 일산화탄소 화재감지기 시험 관련기준(이하 CO 관련기준)을 분석함으로써 국내에 일산화탄소 화재감지기 도입 시 요구되는 시험기준을 모색하고자 한다. 국내 규격으로는 소방청고시(화재안전기준, 감지기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 등)와 KS 규격(KS B 7240-6)을 확인하였고 국내 기준과 연관성이 있는 미국(UL 268,217), 국제(ISO 7240-6,9) 그리고 영국(BS EN 54-26)의 규격을 확인하였다. 국내 기준과 연관성이 있는 국외 기준을 분석하여 CO 관련기준에 대해 비교 분석하였다. 소방청 고시로써 감지기의 우수품질기준 및 세칙은 UL 268/217과 유사성을 확인하였고 해당 규격에서 규정하고 있는 polyurethane foam smoldering test 및 cooking nuisance smoke alarm test에서 CO 관련기준이 제시되고 있다. KS 규격 중 KS B ISO 7240-6에서만 화재시험인 Test File 2,3,9를 제시하여 CO 관련기준이 존재함을 확인하였고 국제표준규격인 ISO 7240-6과 유사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다만, ISO 7240-6에서는 각각 화재시험에서 유효성 기준에 일산화탄소 profile을 제시하였지만 profile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없음이 확인되었다. 추가적으로 KS 규격 중 KS B ISO 7240-6과 유사한 표준규격으로 ISO 7240-9, BS EN 54-26 등에서는 유효성기준 등 세부기준에 대한 설명이 존재하였다. 결론적으로 KS 규격에서는 일산화탄소 화재감지기에 대해 기술하고 있기 때문에 NFSC 등 소방청고시에도 CO 관련기준을 반영하도록 정책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관련 국외 표준규격 및 기준을 참고하여 국내 실정에 맞도록 일산화탄소 화재감지기를 복합형화재감지기 등의 형태로 반영하는 방향도 고려해야 한다.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