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jpg
학술대회자료

디지털트윈 기반 소방활동정보시스템 개발

최근에 발생한 쿠팡 물류센터 화재, 제천 스포츠센터 화재, 용인 SLC물류센터 화재 등의 공통점은 요구조자의 위치와 내부구조 파악이 어려워 인명 피해가 컸던 화재 사례이다. 화재나 재난발생 시 출동한 소방대가 건물 내부구조 파악을 위한 설계도면 없이는 구조활동이 어렵고 구조 파악이 가능하더라도 요구자가 건물 내 어느 곳에 있는지 알 수 없어 건물 내 모든 구역을 수색할 수 밖에 없다. 물론 관련법에 따라 건축물의 내부구조를 알 수 있는 설계도면을 관할 소방기관에 제출하도록 되어 있으나 화재 시 인명구조 골든타임 확보를 위해서는 건축물의 구조 파악과 요구조자의 위치 식별이 신속히 요구되는 상황에서 완벽한 방안이라할 수 없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한 건물 구조의 직관적인 파악과 건물 내 모든 구역의 실시간 잔류인원을 확인할 수 있는 디지털 트윈기반 소방활동정보시스템 개발내용이다. 소방활동정보시스템은 건물의 외형과 내부구조의 직관적인 파악이 가능하도록 건물 설계도를 기반으로 3D모델링하여 웹시스템으로 구축하고 복합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입⋅출입 인원을 계수하는 장치를 건물 내 모든 출입문 상단에 설치하여 잔류인원을 계산하여 표시하였다. 출구가 다수일지라도 그룹화하여 잔류인원을 계산하도록 하였다. 건물 외경에 건물 내 총 잔류인원과 층별 인원을 표시하고 특정 층을 클릭하면 해당 층 구조와 공간별 잔류인원을 표시하도록 하였다. 또한, 출동한 소방대가 쉽게 접속 가능하도록 소방활동정보시스템 웹 주소(URL)를 QR코드로 생성하여 건물 소방 송수전에 부착해두었다. 본 논문에 언급하는 소방활동정보시스템은 구조활동을 펼쳐야 할 대상 건물의 내부 공간의 배치 현황뿐만 아니라 그 공간 내 잔류인원 실시간 현황을 시스템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신속한 인명구조 활동을 지원하여 대형인명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또한, 인공지능 기반 영상처리 기술과 디지털트윈 기술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이용한 재난안전관리와 구조활동 지원을 시스템화하고 자동화함으로써 효율적인 안전관리망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