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문화와 융합 제45권 2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정치적인 몸 연구로서 장애미학과 신체 탐구로서의 장애예술 연구

The Study of Disability Aesthetics as Politics Bodies and Disability Arts as the Explore of the Sensible

DOI : 10.33645/cnc.2023.02.45.02.397
  • 168
※해당 콘텐츠는 기관과의 협약에 따라 현재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신체의 다양한 감각 역량을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장애예술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신체들의 상징적 배분의 정치를 드러내는 장애인의 신체는 감각계의 새로운 분할을 만들어내는것으로서 정치적, 미적 신체임을 분석하였다. 나아가 감각 가능한 것에 대한 경계가 허물어지고 가능과불가능이 끊임없이 재배치 되고, 사물들의 가치체계를 재분할하는 장애예술 분석을 통해 장애미학을 논의하였다. 장애미학 연구의 구체적이고 실증적 분석을 위해 두 명의 예술가의 작품과 작품활동을 탐구하면서 장애인의 신체가 감각계의 재분할을 드러내는 정치적인 몸으로 이해 가능함을 분석하였다. 주체의 시선과타자의 응시가 교차를 드러내면서 감각계의 분할선을 드러내는 김환 작가의 프레임 개념을 분석하였으며, 인지와 감각, 예술적 매체로서 현현한 김현우 작가의 작품을 이해하여 보았다.

Disability art was analyzed as providing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various sensory capacities of the body, and based on this, the body of the disabled, which reveals the politics of symbolic distribution of bodies, was analyzed as a political and aesthetic body as a new division of the sensory system. Furthermore, the aesthetics of disability was discussed through the analysis of disability art, in which the boundaries of the sensible are broken, the possible and the impossible are constantly rearranged, and the value system of objects is re-divided. For a concrete and empirical analysis of the aesthetics of disability research, the works and works of two artists were explored,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body of the disabled as a political body revealing the re-division of the sensory system was analyzed. We analyzed the frame concept of artist Hwan Kim, which reveals the dividing line of the sensory system by revealing the intersection of the gaze of the subject and the gaze of the other, and understood the work of artist Hyunwoo Kim, which was manifested as a cognitive, sensory, and artistic medium.

1. 서론

2. 장애학에서의 장애의 개념

3. 정치적인 몸으로서 장애와 미학

4. 감각계의 분할로서 정치적인 신체와 장애예술 분석

5.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