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창의적 협업을 기반으로 한 융복합 문화예술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vergence Culture and Arts Education Based on Creative Collaboration

  • 162
문화와 융합 제45권 2호.jpg
※해당 콘텐츠는 기관과의 협약에 따라 현재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21세기 과학기술의 혁명은 인류의 삶에 큰 변화를 초래하였고, 경계를 넘나드는 새로운 학문에 대한요구와 함께 교육의 패러다임에도 혁신을 요청하고 있다. 이에 따라 등장한 융복합 문화예술교육은 탈장르적 예술작업, 매체융합,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새로운 지식의 창출을 중요시하고 민주시민의 육성및 전인교육을 지향하고 있지만, 실천적 측면에서는 각 구성원의 적극적인 소통이나 협력과 같은 중요한 문제를 여전히 지니고 있다. 본 논문은 이 문제에 주목하여 ‘창의적 협업’을 기반으로 한 융복합 문화예술교육의 방안을 강구함으로써 그 실천에 도움을 주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먼저 창의성과 협업의 의미로부터 창의적 협업의 의미와 성격을 도출하고 문화예술교육과 융복합개념에 대한 이론과 해석들을 바탕으로 융복합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의미와 성격, 실천적 문제를 밝힌후, 이를 토대로 창의적 협업을 기반으로 한 융복합 문화예술교육의 특징과 방안, 실질적인 예시를 제시하여 보다 구체적인 실천에 한 걸음 더 다가간 연구가 되도록 하였다.

The revolu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21st century has brought about great changes in human life, and demands for innovation in the paradigm of education. Convergence culture and arts education, which aims for non-genre art works, media convergenc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nd holistic education, reflects it. However in terms of practice, important issues such as active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of each member remain. This study aims to help the practice of convergence culture and arts education by seeking a plan for convergence culture and arts education based on creative collabor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erives the meaning and nature of creative collaboration and analyzes the meaning, character, and practical problems of convergence culture and arts education. After all, the characteristics and plans of convergence cultural arts education based on creative collaboration, and practical examples were presented to make it a more specific and practical study.

1. 서론

2. 창의적 협업의 의미와 성격

3. 융복합 문화예술교육의 이해

4. 창의적 협업과 융복합 문화예술교육

5.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