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사회복지상담연구 제4권 제2호.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고령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Impact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 92

본 연구는 고령노인들의 삶의 질에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사회적 자본과 건강증진행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삶의 질에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구·경북의 노인복지관, 경로당 등을 이용하는 70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변수들의 회귀모형 검증을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자본, 건강증진행위, 삶의 질은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령노인의 사회적 자본과 건강증진행위는 삶의 질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근거로 고령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고령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중요성을 재조명하고, 고령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and health promotion activities on the quality of lif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old-old elderly of 70-year-olds who use senior centers and elderly welfare centers in Daegu and Gyeongbuk. The research results derived through the verification of the regression model of the variable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social capital,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all had a positive correl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social capital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the elderl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a practical plan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as suggested. Through this, it is meaningful to re-examine the importance of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and to provide social welfare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방법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