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내향성 발톱 교정에 관한 사례 고찰 연구’로서 보다 효과적인 내향성 발톱 교정 방안을 제안하고자 함에 있다. 고찰하여 분석한 결과 배민규, 윤천성(2022)은 내향성 발톱 예방 및 개선⋅교정을 목적으로 활용한 레진 젤(크랄레젤)을 활용한 내향성 발톱 교정 방법이 제품 활용 편리성, 문제점 등에서 다른 연구자들의 연구방법에 따른 문제점 등과 비교했을 때 활용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 다만 기존 다른 연구자들의 아크릴 스캅춰, Brace System, 실크, 와이어 등 제품들에 비해 교정 효과가 비교적 낮아 김경환(2022) 연구자가 내향성 발톱 교정 효과성 검증을 위해 활용했던 견인기를 함께 활용하기를 제안한다. 내향성 발톱 예방 및 재발 방지를 목적으로 배민규, 윤천성(2022) 연구자가 제안한 크랄레젤 리커버 1회 적용을 제안하고, 내향성 발톱 개선 및 교정을 목적으로 김경환(2022) 연구자가 활용한 견인기를 활용하여 발톱을 펴준 후, 배민규, 윤천성(2022) 연구자가 제안한 크랄레젤 리커버를 목적에 맞게 2~5회 적용하여 활용하기를 제안한다. 본 연구 자료가 내향성 발톱 질환으로부터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As “a case study on the correction of ingrowing nail”, this study aims to suggest more effective measures for the correction of ingrowing nail. In the results of considering and analyzing it, the correction of ingrowing nail using the Resin Gel(Kralle Gel) which was used by researchers Min-Gyu Bae & Chun-Sung Youn(2022)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improving, and correcting the ingrowing nail, seemed to be more useful than other methods used by other researchers in the aspect of convenience of product use and problem. However, compared to the products like Acrylic Sculpture, Brace System, Silk, and Wire used by other researchers, the effect on correction was relatively lower, so it is proposed to be used together with the Retractor that was used by Kyeong-Hwan Kim(2022) for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n the correction of ingrowing nail. This study suggests applying Kralle Gel Recover one time suggested by Min-Gyu Bae & Chun-Sung Youn(2002) for the purpose of prevention & recurrence prevention of ingrowing nail, unbending the nail by using the Retractor used by a researcher Kyeong-Hwan Kim(2022) for the purpose of improving/correcting the ingrowing nail, and then applying Kralle Gel Recover 2-5 times suitable for the purpose, suggested by researchers Min-Gyu Bae & Chun-Sung Youn(2022).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s the data for enjoying a healthy life from ingrowing nail disease.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