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화장품 제도’가 2020년 3월 14일자로 첫 시행되었다. 맞춤형화장품 제도는 화장품 혼합 및 소분 등 다양한 소비자의 기호 반영과 맞춤형화장품 조제 관리사와 같은 전문 일자리 창출효과와 화장품 산업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급변하는 경제성장의 21세기 현대사회는 단순하게 최신 유행 추구보다는 본인의 만족감을 충족시키는 소비트렌드 중심으로 개인별 취향과 특별함을 강조하는 퍼스널 형태의 맞춤형 제품 관심이 점차 확대되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맞춤형화장품에 대하여 맞춤형화장품과 맞춤형화장품조제관리사, 맞춤형화장품의 시장현황에 대하여 알아보고 맞춤형화장품을 적용한 분야의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아름다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현대인들의 삶의 질과 생활수준 향상은 외모관리가 자기표현의 수단으로 외모는 자기 인식과 함께 인간관계에서도 중요한 요소일 것이다(김민정, 2018). 외모에 대한 관심도가 갈수록 높아지면서 소비자들은 전문가에게 지속적인 관리를 받는 것이 일상이 되어가고 있다(김지윤, 전미정, 2020). 소비자들은 자신의 외모관리를 위한 수단으로 화장품을 구매하고 사용하는데 있어서 유행을 따르기보다는 자신에게 맞는 화장품을 선호하며 맞춤형화장품에 대한 인식은 소비자의 피부상태에 맞추어 즉석에서 만드는 화장품으로 인식하고 있다. 본 연구가 미용분야에서 맞춤형화장품이 피부미용관리 프로그램에 다양하게 활용되며 기초를 다지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Customized Cosmetics Systems’ came into effect on 14 March 2020. With the customized cosmetics system, it is possible to reflect consumers’ various preferences to the mixture and subdivision of cosmetic ingredients, to create jobs like customized cosmetics technical managers, and to promote the cosmetics industry. In today’s society with rapid economic growth, more consumers have been interested in customized products reflecting individuals’ tastes and speciality in the consumption trend for self-satisfaction, rather than the pursuit of the latest fashion. This study tried to find customized cosmetics, customized cosmetics technical managers, and the market state of customized cosmetics, and to look into other studies on customized cosmetics. As people pay more attention to beauty along with the improved quality of life and standard of living, their care for looks is the means of self-expression. Therefore, appearance together with self-awareness is a critical factor in human relationship (Kim Min-jeong, 2018). The more consumers are interested in their looks, the more they receive professional care in everyday life (Jeong Mi-jeong, 2020). When buying and using cosmetic products as the means for appearance management, consumers prefer the cosmetics suitable for themselves, rather than follow a fashion and think of customized cosmetics as the cosmetic products made instantly in consideration of their skin condition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ontributes to applying customized cosmetics much to skin care programs and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m.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