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관광위험지각이 관광지 선택 결정장애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Tourism Risk Perception on the Decision Disorder of Tourist Destination Selection: Focusing on the Adjustment Effect of the Adjustment Focus

  • 200
융합관광콘텐츠연구 제9권 제1호.jpg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관광지에 대한 위험지각과 결정장애의 관계 분석을 통해 관광지 선택에 대한 다양한 변수들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며, 이러한 연구를 통해 관광 마케팅의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해주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관광지 결정장애 영향요인으로써 관광 위험지각 X 조절초점 메시지 실험설계를 적용하였다. 결과: 첫째, 관광지 결정장애의 영향요인으로 설정한 관광 위험지각은 관광지 결정장애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광 위험지각이 관광지 결정장애 행동에 영향을 미칠 때 조절초점 메시지의 조절효과가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관광 위험지각, 조절초점 메시지의 상호작용은 소비자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하여 관광지 선택에 있어서 결정장애라는 새로운 개념과 관광지 결정장애를 통해서 사회 현상으로 발생되는 결정장애를 실무적인 관점에서 연구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점 등은 연구의 말미에 포함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research on various variables for tourist destination selec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perception and decision disorder for tourist destinations, and t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tourism marketing through this study. Methods: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the experimental design of the tourism risk perception X adjustment focus message was applied as an influencing factor for tourist destination decision disorder.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perception of tourism risk set as an influencing factor for the decision disorder of tourist destinations affects the decision disorder of tourist destination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moderating focus message occurred when tourism risk perception affects the behavior of tourist destination decision disorder. Third, it was found that the interaction of tourism risk perception and regulatory focus messages had an effect on consumer emotions.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the new concept of decision disorder in selecting tourist destinations and decision disorder caused by social phenomena through decision disorder were studied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included at the end of the study.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