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한국어 교육과정(KSL) 이 진정한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으로 위상을 수립할 수 있도록 현행 한국어 교육과정 운영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운영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2012 한국어 교육과정”과 “2017 개정 한국어 교육과정”이 진정한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으로 위상을 수립할 수 있도록 현행 한국어 교육과정 운영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운영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걸맞는 위상을 획득하기 위해서 개선해야 할 한국어 교육과정의 문제점으로는 세 가지를 지적하였다. 첫째, 한국어 학급의 개설이 학생들의 요구를 따라가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둘째, 한국어 교육 강사 지원 제도의 운용이 미흡함을 지적하였다. 셋째, 제도와 수단을 마련하고 있음에도 이를 학습자에게 전달하지 못하는 한국어 교육 지원 전달 체계의 문제를 지적하였다. 그리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세 가지를 제안하였다. 첫째,지역사회 교육자원을 공유하여 한국어 교육과정을 운영할 것을 제안하였다. 여러 부처와 기관에서 운영 중인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을 통합하여 운영함으로써 교육부의 물적 인적 자원의 한계를 극복하고, 학습자의 교육서비스 접근성을 개선할 수 있다는 점을 주장하였다. 둘째, 지역사회 교육자원을 공유하여 한국어 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특정 부처, 특히 교육부의 의식 전환이 필요하다. 여러 부처와 기관에서 실시하는 한국어 교육의 전달 체계를 명료화하기 위해 교육부의 주도적이고 적극적인 태도가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셋째, 한국어 교육으로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온라인 콘텐츠와 같은 전달 매체의 다양화가 이루어져야 함을 주장하였다. 특히 여타의 교과 교육과정에서 도입하는 ‘최저 성취수준’을 한국어 교유과정에도 적용하고 이를 뒷받침하는 온라인 콘텐츠 제악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operation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so that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KSL) can establish its status as a true national level curriculum and to find ways to improve its operation. Accordingly,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operation of the current Korean language curriculum were examined and measures were sought to improve the operation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so that the 2012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he 2017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could establish their status as true national-level curriculum. Three problems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at need to be improved in order to acquire a status suitable for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were pointed out. First,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opening of Korean language classes could not keep up with the needs of students. Second, it was pointed out that the operation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ructor support system was insufficient. Third, it pointed out the problem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support delivery system that cannot deliver it to learners even though systems and means are in place. And three measures were proposed to improve this. First, it was proposed to operate a Korean language curriculum by sharing local community educational resources. It was argued that by integrating and opera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s operated by various ministries and institutions, the limitation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s physical human resources can be overcome and learners' access to educational services can be improved. Second, in order to operate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by sharing local community educational resources,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consciousness of specific ministries, especially the Ministry of Education. It was argued that the Ministry of Education's leading and active attitude is necessary to clarify the delivery syste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ducted by various ministries and institutions. Third, it was argued that the diversification of delivery media such as online content should be made as a way to increase accessibility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particular, the 'lowest level of achievement' introduced in other curriculums was applied to the Korean language exchange course, and the necessity of online content degradation was argued.
1. 머리말
2. 한국어 교육과정(KSL) 운영 현황 및 문제점
3. 한국어 교육과정 운영 개선 방안
4. 맺음말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