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2022 음악과 교육과정 교과역량과 성취기준 재구성에 따른 중학교 블렌디드 감상수업 연구

A Study on the Middle School Blended Appreciation Class according to the Reorganization of Core Competencies and Achievement Standards by the 2022 Music Curriculum

  • 43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5호.jpg

목적 이 연구에서는 2022 음악과 교육과정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재구조화에 따라 블렌디드 러닝 수업을 통해 교과역량과 연계하여 성취기준을 재구성하여 효과적인 감상 수업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성취기준 재구조화를 기존의 성취기준과 비교하여 제시하고, 성취기준 재구조화 중 통합, 재조정을 활용하여 감상영역 수업 방안을 총 3차시로 1, 2차시는 원격수업, 3차시는 등교수업으로 5가지 교과역량과 연계하여 수업 방안을 구상하였다. 결과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감상 영역 수업 방안을 온-오프라인 연계수업 속에서도 내용 연결, 학습량의 적정화, 학습 결손을 방지시키면서 2022 음악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5가지 교과역량을 모두 기를 수 있도록 두 가지의 수업 방안을 각각 3차시로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결론 블렌디드 러닝 수업을 통해 개인의 능력에 맞추어 성장할 수 있고, 흥미 유발, 유대관계를 형성시킬 수 있며, 감상 수업을 통하여 음악의 아름다움을 경험하고, 타인의 생각을 공감하며, 다양한 문화를 수용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effective appreciation class plan by linking the reconstruc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with core competencies through blended learning classes according to the reorganization achievement standards by the 2022 music curriculum. Methods To this end, the restructuring of achievement standards was compared to the existing achievement standards, and the class plan was devised in connection with five curriculum competencies as a total of 3 classes for the 1st and 2nd classes and for the online class 3rd class for the offline class by using integration and readjustment during the restructuring of achievement standards. Results It was suggested to develop all five core competencies while preventing content connection, optimization of learning volume, and learning deficits by using blended learning classes. Conclusions Through blended learning classes, the effect of growing according to individual abilities, inducing interest, and forming bonds was derived, and through listening classes, the effect of experiencing the aesthetics of music, sympathizing with other people's thoughts, and accepting various cultures was deriv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블렌디드 감상 학습 지도 방법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