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3권 5호.jpg
KCI등재 학술저널

원의 넓이에 대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이해 분석

Analysis of 6th graders' understanding of the area of the circle

DOI : 10.22251/jlcci.2023.23.5.499
  • 106

목적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원의 넓이의 측정 개념에 대한 이해 정도를 분석하여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원의 넓이의 측정 개념을 어림, 단위반복, 재배열, 배열구조로 구분하고 이를 토대로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과제를 개발하였다. 과제를 적용하고 원의 넓이의 의미가 단위의 개수임을 아는가, 원의 넓이를 구하기 위한 전략(어림, 세기)을 사용하는가, 적절하게 분할과 재배열할 수 있는가에 대한 반응을 분석하였다. 결과 학생들은 원의 넓이의 의미와 측정 개념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지 못하였다. 원의 넓이를 단위의 개수로 인식하지 못하는 학생이 많았으며, 재배열과 배열구조에 대한 이해가 다른 측정 개념들에 대한 이해보다 좀 더 미흡하였다. 또한, 곡선을 반영한 어림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였다. 결론 원의 넓이를 지도할 때 학생들이 측정의 관점에서 원의 넓이를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내용이 보완될 필요가 있으며 학생들의 단위 개념에 대한 불완전한 이해를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학생들이 원을 직접 분할하고 재배열하는 경험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과정 및 교과서가 보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measuring the area of the circle of 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was analyzed. Methods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measuring the area of the circle was divided into approximate, unit repetition, rearrangement, and arrangement structure, and based on this, a task was developed for sixth-grade students. We applied the task and analyzed the response to knowing that the meaning of the area of the circle is the number of units, using strategies (approximation, strength) to find the area of the circle, and whether it can be divided and rearranged appropriately. Results Students did not properly understand the meaning and measurement concept of the area of the circle. There were many students who did not recognize the area of the circle as the number of units, and their understanding of rearrangement and arrangement structure was more insufficient than their understanding of other measurement concepts. In addition, there was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spirit that reflected the curve. Conclusions When guiding the area of a circle, it is important to guide it to understand it from the perspective of measurement, to find ways to supplement students' incomplete understanding of the unit concept, and to be given the experience of dividing and rearranging circles directly. Based on this,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the circle's width map and the development of the next textbook were deriv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