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35803.jpg
KCI등재 학술저널

역할 스트레스, 소진, 이직의사 간의 인과관계 검증 - 지역자활센터 종사자를 중심으로

사회복지분야의 여러 하위 영역에서 역할 스트레스(역할과다, 역할갈등, 역할모호), 소진, 이직의사는 중요한 연구주제로 간주되고 있으나 이 변수들 사이의 인과관계에 대해서는 아직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자활센터 종사자를 대상으로 역할 스트레스가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그 사이에서 소진이 매개변수의 역할을 하는지 규명하며, 더 나아가 지역자활센터 종사자의 이직의사를 예방하거나 완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이론적ㆍ실천적 함의를 도출하는 데 있다. J도와 G광역시의 지역자활센터 종사자 집단으로부터 수집된 209부의 설문지를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 검증 등의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최종 연구모형의 적합도 지수(χ2=151,485, df=80, p=0.000, RMSEA=0.06, GFI=0.91, NNFI(TLI)=0.92, CFI=0.94)가 양호하여 본 연구의 구조모형이 적합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할 스트레스의 3가지 하위요인은 모두 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역할 스트레스의 하위요인 가운데 역할과다만이 이직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셋째, 소진은 역할 스트레스와 이직의사 사이에서 매개변수로 기능하고 있다. 끝으로,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자활센터 종사자의 이직의사에 대응하기 위한 이론적ㆍ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Role stress,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s in the field of social work have received increasing attention in the literature. However, researchers are yet to systematically explor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role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s among employees in local self-sufficiency center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burnout, and to draw ou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terms of reducing the level of turnover intention. A convenient sampling was taken of employees in local self-sufficiency centers in J Province and G Metropolitan City. A total of 209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statistical analyses. A proposed structural model to the turnover intentions of local self-sufficiency center employees has also been identified to have a structural explanation for the aforementioned variables. Upon estimation using the SEM procedure, the overall fit of the final model was good (χ2=151,485, df=80, p=0.000, RMSEA=0.06, GFI=0.91, NNFI(TLI)=0.92, CFI=0.94).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role overload, role conflict, and role ambiguity have significant effect over burnout. Second, role overload has significan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Third, role overload, role conflict, and role ambiguity are indirectly related to turnover intention through burnout. Finall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also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