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수학교육에서 이루어지는 통계 그래프 지도에 대한 개선 방안을 탐색하기 위해 첫째, 중학교 사회 교과서에 등장하는 통계 그래프에는 어떠한 유형이 있는지, 둘째, 초등학교 수학에서 경험하는그래프와는 어떤 차별화된 특징이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학교 사회 교과서에 제시된 그래프의 88.2% 는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다루었던 것이었으며, 사용 빈도는 혼합형 그래프를 제외하면 막대그래프, 꺾은선그래프, 비율그래프, 그림그래프 순이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통계 그래프가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제시된 정형화된 틀을 따르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이 이루어져 사용되고 있었다. 초등학교 수학에서 경험하는그래프와 차별화된 특징에는 그래프별로 상이했다. 예를 들어, 막대그래프의 경우, 축의 생략, 막대의 변형, 다중변수의 표현 등이 있었으며, 꺾은선그래프의 경우에는 다중변수의 표현, 정확한 변량의 표기 등이 있었다.
In this study, in order to explore ways that statistical graphs teaching in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can be improved, first, the types of statistical graphs that appear in middle school social textbooks were examined, and second, the characteristics that differentiated these from statistical graphs that appeared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were investigated. This analysis indicated that 88.2% of the graphs presented in the middle school social textbooks were addressed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The frequency of use (excluding mixed graphs) was in the order of bar graphs, line graphs, ratio graphs, and picture graphs. However, most of the statistical graphs did not follow the standardized framework suggested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as they were instead transformed in various ways. The features that differentiated middle school mathematics graphs from graphs experienced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differed for each type of graph. For example, in the case of bar graphs, there were the omission of axes, deformation of bars, and expression of multiple variables, while in the case of line graphs, there were expressions of multiple variables and accurate representations of variable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