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더믹에 따라 시작된 원격수업의 장기화로 인해 취약계층 학생의 학습결손을 막고 학습격차를 줄이기 위해, 취약계층 학생을 대상으로 에듀테크 콘텐츠 지원사업의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여 에듀테크 활용 교육 및 취약계층 대상 교육 지원 사업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특히 교육적 효과 중 원격수업에서의 학습 격차를 더욱 심화시키는 자기주도적학습 능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에듀테크 콘텐츠 지원을 받고 있는 취약계층 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 능력 향상 정도를 분석하고자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자기주도학습 능력의 집단별 차이분석 결과, 인지적 영역과 행동적 영역에서 성별, 학교급, 지역규모에 대한 집단별 차이가 나타났고 정의적 영역에서는 성별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학교급과 지역규모에 대한 집단별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자기주도적학습 능력의 영역별 사전-사후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기술통계값은 모두 사후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첫째, 에듀테크 콘텐츠를 이용한 장기적인 지원 사업이 필요로 하고, 둘째, 적극적인 멘토서비스를 제공하여 학습을 넘어서 취약계층 학생들의 정서적 측면까지 보완할 필요가 있으며, 셋째, 학부모의 보호나 학습적 지원을 적극적으로 받지 못하는 취약계층 학생들의 경우, 멘토 혹은 튜터 선생님의 지원이 포함된 에듀테크 서비스를 지원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edutech content support project targeting vulnerable students. In particular, it was intended to explore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mong the effects of the edutech content support project. To analyze the improvement i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f the vulnerable students receiving the edutech content support, a pre- and post-test was conducte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group difference analysi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y gender, school, and region in the cognitive and behavioral domains. In the affective domain,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school and region.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post scores for each domain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However, the mean scores were all high in the posterior test. Suggestions through this are as follows. First, a long-term support project using edutech contents is necessary. Seco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 active mentor service to complement the emotional aspects of students from the underprivileged beyond learning. Third, it is necessary to support edutech services that include support from mentors or tutors for vulnerable students who do not receive active parental protection or academic suppor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