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예비수학교사 24명을 대상으로 지수함수 맥락에서 지수함수의 그래프를 어떻게 구성하는지와 각 맥락의 교수학적 적절성에 대해서 어떻게 판단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제시된 지수함수 맥락은 무수히 많은 점을 이용하는 맥락과 무수히 많은 직선을 이용하는 맥락, 무한히 지급되는 이자 맥락이었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단계별로 그래프의 개형을 제시하는 과제에서 유한개의 점에 대한 그래프의 극한이라는 아이디어 A에서 가장 높은 이해도를 나타낸 반면에 한 점에서의 변화율과 함숫값이 비례한다는 아이디어 B와 연속 복리 개념이 내포된 아이디어 C를 사용한 그래프 구성에는 어려움을 나타내었다. 지수함수 그래프 구성 맥락이 적절한가에 대한 판단은 예비교사들의 내용교수지식에, 부적절하다는 판단은 수학의 내용지식 측면에 의존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예비교사들은 각 맥락에 따른 그래프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수학적 조건과 상황을 언급하며 그래프 구성 맥락의 적절성을 주장한 반면에, 부적절성에 대해서는 각 맥락에 내포된 수학 개념의 본질과 논리적 관계들을 언급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understanding of 24 pre-service teachers about the three contexts for constructing the exponential graphs. The three contexts consisted of the infinite points context (2009 revision curriculum textbook method), the infinite straight lines context (French textbook method), and the continuous compounding context (2015 revision curriculum textbook method). As the result of the examination, most of the pre-service teachers selected the infinite points context as easier context for introducing the exponential graph. They noted that it was the appropriate method because they thought their students would easily understand, but they showed the most errors in the graph presentation of this method. These errors are interpreted as a lack of content knowledge. In addition, a number of pre-service teachers noted that the infinite straight lines context and continuous compounding context were not appropriate because these contexts can aggravate students' difficulty in understanding. What they pointed out was interpreted in terms of knowledge of content and students, but at the same time those things revealed a lack of content knowledge for understanding the continuous compounding context. In fact, considering the curriculum they have experienced, they were not familiar with this context, continuous compound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should be improved. Finally, some of the pre-service teachers mentioned that using technology can help the students' difficulties because they considered the design of visual model.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