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복구성 분야의 패턴제도를 위한 유튜브 교육 동영상 분석
Analysis of YouTube educational videos for Pattern Making in the field of Clothing Construction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한국디자인리서치
- Vol8, No. 1(통권 26권)
- : KCI등재
- 2023.03
- 434 - 452 (19 pages)
본 연구는 의복구성 교육의 가장 기초가 되는 패턴제도 정보를 제공하는 유튜버의 동영상 콘텐츠 구성 및 화면연출 방법을 분석하여 패턴제도 교육 콘텐츠 구성 및 동영상 교육자료 제작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국내 유튜버 중 구독자 1만 명 이상을 가진 의복구성 분야의 유튜버 4인을 선정한 후 이들의 채널 내에서 조회 수 1만회 이상을 기록한 패턴 제도 동영상 155개를 선정하여 패턴 교육의 범주에서 치수측정, 원형, 그레이딩, 의복 분류로 주제를 분류하여 살펴보고 강의내용 구성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분석하였고, 강의 형식 및 무대 세팅, 컷의 구성, 강의자 화면 사이즈와 카메라 앵글 및 이동, 패턴제도 화면 사이즈와 카메라 앵글 및 이동, 조명 및 오디오, 자막 및 화면전환효과, 효과음 및 배경음의 측면에서 각 유튜버의 영상을 분석하였다. 종합적 특성을 도출한 결과 시청자의 수요를 반영한 실용적이고 트렌디한 디자인을 바탕으로 한 콘텐츠로 구성되었고, 쉬운 패턴 개발 및 세분화된 사이즈적용법 등의 특수한 콘텐츠들로 이루어져있었다. 또한 오랜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디자인의 변화나 치수 변화에 대해서 응용할 수 있는 전문적인 콘텐츠로 구성되었고, 시청자와 친밀감을 형성하기 위한 콘텐츠적, 기술적 방면의 노력이 이루어졌다. 콘텐츠 전달력 향상을 위한 화면 구성과 편집 기법적 특성으로 디자인 설명 화면과 패턴제도 화면의 두 가지 숏의 구성, 적절한 자막의 사용, 현장감 있는 강의 구성과 편집, 축소 패턴의 활용이 나타났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다양한 의복구성 실습 교육 동영상에 대한 분석을 단계별로 진행해보고자 한다.
This study aimed to prepare a database for constituting pattern making education content and producing video educational material by analyzing the video content organization and screen production method of YouTubers that provided pattern making information that is the most basic of clothing construction education. Four YouTubers in the clothing construction field with more than 10,000 subscribers were selected among domestic YouTubers, and 155 pattern making videos with more than 10,000 views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within their channels. In the category of pattern education, topics of each YouTuber's videos were classified into dimensional measurement, basic foundation patterns, grading, and clothing classification, and the composition of lecture contents was analyzed. Each YouTuber's videos were analyzed in terms of lecture format and stage setting, cut composition, lecturer screen size and camera angle and movement, pattern making screen size and camera angle and movement, lighting and audio, subtitles and screen conversion effects, sound effects and background sounds. Comprehensive characteristics resulted from the analysis were that the videos were composed of contents based on a practical and trendy design that reflected the needs of the viewers, and special contents such as easy pattern making methods and detailed size application. It also consisted of professional content that could be applied to design changes or dimensional changes based on long practical experience. Content and technical efforts were made to build rapport with viewers. Screen composition and editing techniques to improve content delivery showed the composition of two shots, design explanation screen and pattern drawing screen, the use of appropriate subtitles, realistic lecture composition and editing, and reduced patterns. Based on this study, I would like to conduct a step-by-step analysis of various clothing construction training videos in the future.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패턴제도 동영상 분석
4.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