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큰 수의 법칙’ 탐구 활동에서 나타난 가추법의 유형 분석

An Analysis on Abduction Type in the Activities Exploring ‘Law of Large Numbers’

  • 6
post.png

본 연구는 통계적 추론과 가추법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큰 수의 법칙’ 탐구 활동에서 나타난 가추법의 유형을 살펴보았다. Peirce의 가추법, Eco의 가추법 유형, Toulmin의 논증패턴을 바탕으로 통계 수업담화를 분석한 결과, 가추법에 해당하는 수업담화에는 과대 코드화된 가추법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반면에 학생들의 다양한 사고를 유도하는 과소 코드화된 가추법과 새로운 법칙이나 이론을 만드는 창조적 가추법은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 추론과정에 사용된 계산기는 추상적 확률 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경험적 맥락을 통해 학생들이 추론을 중심으로 한 논증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통계 수업에서는 가추법에 대한 이해와 함께 도구를 이용한 통계적 맥락 형성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types of abduction appeared in the exploration activities of ‘law of large numbers’ in order to figure out relation between statistical reasoning and abduction. When the classroom discourse of students was analyzed by Peirce’s abduction, Eco’s abduction type and Toulmin’s argument pattern, students used overcoded abduction the most in the discourse of abduction. However, there composed a low percent of undercoded abduction leading to various thinking, and creative abduction used to make new principles or theories. By the CAS calculators used in the process of reasoning, students were provided with empirical context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abstract probability, through which they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argumentation centered on the reasoning.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not only to understand the abduction, but to build statistical context with tools in the learning of statistical reasoning is important.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