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천향 인문과학논총 42권 1호.jpg](http:///contents.kyobobook.co.kr/sra/upload/book_img/873/873290.jpg)
王維 시의 은일 공간에 대한 인지시학적 접근
A Cognitive Poetics Approach to the ‘Yinyi(隱逸)’ Space in Wang Wei(王維)'s Poems: Focusing on an Idyll
-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 42권 1호
- : KCI등재
- 2023.03
- 39 - 62 (24 pages)
본고는 중국 당대(唐代)의 저명한 시인 王維(701~761)의 작품을 인지시학적으로 분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왕유의 작품 중에서도 전원을 배경으로 하는 시를 대상으로 삼았다. 본문에서는 먼저 인지론적 틀로써 작품을 분석하기 위해 인지시학적 이론을 개술했다. 다음으로 왕유의 작품에 큰 영향을 주었던 도연명의 작품 중 「歸園田居」를 분석하여 작품해석을 위한 지식구조의 구체적 사례를 확인했다. 이것을 바탕으로 다섯편의 작품을 분석했다. 그 결과 왕유 시에 나타난 전원이 진정한 자신을 회복하는 은일 공간으로 형상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인지론적 분석 과정 중 작품에서 공통으로 등장하는 일몰이라는 장치가 ‘돌아감’의 스크립트를 활성화하여 해석에 영향을 끼쳤음을 발견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se cognitive poetics as a perspective for analyzing poems by the renowned Chinese poet Wang Wei(王維), particularly those set against an idyllic backdrop. The paper begins by outlining the cognitive poetics theory as a methodology for analyzing the poems. From the poem of Tao Yuanming, who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Wang Wei's poetry, 「Returning to the Idyll(歸園田居)」 was selected 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knowledge structure for interpreting the poems. Based on this, the paper analyzes five poems. Through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idyllic settings that appear in Wang Wei's poems are shaped as ‘Yinyi(隱逸)’ space that restore the true self. Furthermore, during the cognitive analysis process, it was found that a literary device called “sunset,” which commonly appears in Wang Wei's poems, influenced the interpretation of the poem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본문
Ⅳ.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