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협동학습 선호와 창의성의 종단적 인과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으로 성별 간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제공한 한국교육종단연구(KELS) 2013의 2차, 3차, 5차 자료(초6, 중1, 중3)를 사용하였고, 분석 대상은 청소년 5,946명(남학생 2,892명, 여학생 3,054명)이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6 시기의부모와의 상호작용과 학업지원은 협동학습 선호와 창의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협동학습 선호와 창의성의 자기회귀효과는 정적으로 유의하고, 남녀 집단간 경로차이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협동학습 선호가 높은 청소년일수록 동일 시점의 창의성이 높아지고, 남녀 집단 간 경로차이도 유의하였다. 반면, 이전 시점의 협동학습 선호가높은 청소년일수록 다음 시점의 창의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남학생 집단에서만 이전 시점의 창의성이 높은 청소년일수록 다음 시점의 협동학습 선호가 높아지는 것으로나타났고, 남녀 집단 간 경로차이도 유의하였다. 이 연구에서 도출된 학습자의 협동학습 선호와 창의성의 분석결과는 학습양식을 활용한 청소년의 창의성 제고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 multi-group analysis across gender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longitudin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ooperative learning preference and creativity. In this study, the 2nd, 3rd, and 5th data of KELS 2013 provided by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were used. The sample was 5,946 student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parent-child interaction and academic support in the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cooperative learning preference and creativity. Second, the self-regression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preference and creativity and the difference in path between groups were significant. Third, cooperative learning prefer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reativity at the same time point, and the difference in path between groups was also significant. The longitudinal analysis results of cooperative learning preference and creativity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information to help enhance youth creativity using learning style preferences.